논문 상세보기

한반도에서 산출된 화석목재의 다양성 KCI 등재

Diversity of Fossil Woods from the Korean Peninsul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11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한반도에서 산출되는 화석목재의 개요와 고식물학적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 문헌 조사를 통하여 이들을 종합하였다. 한반도에서 보고된 화석목재는 중생대에서 신생대로 갈수록 종수와 다양성이 증가하며 특히 신생대에 급증했다. 전기 중생대에서는 구과류 4속 6분류군이 기재되었는데 이것은 대동식물군의 약 6%에 해당한다. 후기 중생대의 화석목재는 모두 구과류이며 총 7속 15분류군이 기재되었는데, 이것은 낙동식물군의 약 29%에 해당한다. 신제3기의 화석목재는 16과 21속에 속하는 35분류군이 기재되었는데 대부분이 쌍자엽식물이고 다른 시대에 비하여 다양성이 가장 크다. 이것은 장기식물군의 약 83%에 해당한다. 신제3기에 화석목재가 급증한 이유는 식물군의 구성이 쌍자엽식물이 많고, 화석층에 목재 화석화에 적합한 화산쇄설암이 풍부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broad outline and palaeobotanical significances, the fossil woods from the Korean Peninsula were integrated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s. Types and diversity of them are gradually increasing from Mesozoic to Cenozoic, especially increased sharply in Cenozoic. During the Early Mesozoic, six conifer taxa belonging to four genera were described, which corresponds to about 6% of the Daedong flora. Those of the Late Mesozoic are all conifers, consisting of fifteen taxa belonging to seven genera, which corresponds to about 29% of the Nakdong flora. During the Neogene, thirty four taxa belong to sixteen families were described. Those woods mostly consist of dicotyledon and have the greatest diversity compared to other geologic eras, which corresponds to about 83% of the Janggi flora. It is inferred that such a rapid increase of the silicified wood fossils in Neogene are due to the abundant presence of dicotyledon in floral composition and of pyroclastic rocks in strata, which are appropriate for preserving wood as fossils.

목차
 서 론  화석 목재의 특성  화석목재의 다양성   고생대층   하부 중생대층   상부 중생대층   신생대 신제3기층  화석목재의 보존 특성  결 론  사 의  References
저자
  • 김종헌(공주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Kim, Jong-H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