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시가화지역 식물군집 특성에 기초한 비오톱 유형분류 KCI 등재

Biotope Type Classification based on the Vegetation Community in Built-up A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2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시가화지역의 서로 다른 토지이용을 대상으로 식물군집에 기초한 비오톱 유형분류를 실시하고 비오톱 지도를 작성하였다. 군집분류법에 의한 비오톱 유형화는 생물군집의 서식지인 비오톱의 특성을 잘 반영한다고 할 수 있었다. 연구대상지의 비오톱유형 분류 지표는 이용강도, 토지이용형태, 토지피복유형과 같은 인간행태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유형분류는 4단계 위계로 상위의 Biotope Class를 시작으로 Biotope Group, Biotope Type, Biotope Sub-Type으로 위계를 두어 구분하였다. Biotope Class는 인간간섭여부에 따른 가장 상위 분류로 인간간섭지역과 미간섭지역으로 구분되었다. 인간의 간섭지역은 투수여부에 따라 Biotope Group으로 분류되었고 틈새투수지역은 넓은 틈새와 좁은 틈새의 Biotope Type으로, 투수식생지역은 평지식생지와 사면식생지의 Biotope Type으로 분류되었다. 각 비오톱 유형의 식별종은 감태나무(Lindera glauca), 망초(Conyza canadensis), 주름잎(Mazus pumilus), 얼치기완두(Vicia tetrasperma), 뽀리뱅이(Crepidiastrum sonchifolium), 잔디(Zoysia japonica), 개소시랑개비(Potentilla supina), 큰김의털(Festuca arundinacea)이었다. 본 연구의 검증결과는 기존의 토지이용 현황에 기반하며 연구자의 주관적인 측면이 개입되는 비오톱 유형분류 기준에 대해서 식물사회학적 접근을 통한 유형 분류의 방법론이 유용함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향후 제작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자연환경 지도 유형분류에 있어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의 적용가능성을 제시한 것에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biotope types based on the vegetation community in built-up areas by different land use and to map the plant communities. By classifying biotopes according to a taxonomic system, the characteristics of a biological community can be well-represented. The biotope classification indexes for the target area include human behavioral factors such as land use intensity, land-use patterns and land-cover types. The type classification was divided into four hierarchic ranks starting with Biotope Class, next by Biotope Group and Biotope Type and lastly by Biotope Sub-Type. The Biotope Class was first divided into two areas: the areas improved by humans and the areas unimproved by humans. The improved areas were again divided into permeable and non-permeable regions on the Biotope Group level. In the Biotope Type level, permeable paving areas were divided into areas with wide gap pavers and those with narrow gap pavers. The differential species of each biotope type are Lindera glauca, Conyza canadensis, Mazus pumilus, Vicia tetrasperma, Crepidiastrum sonchifolium, Zoysis japonica, Potentilla supina and Festuca arundinacea.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biotope classification methodology, using a subjective phytosociological approach, is a useful and valuable tool and the results also suggest the possibility of applying more objective and scientific methods in mapping and classifying various environments.

저자
  • 김지석(부산대학교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강사) | Ji-Suk Kim
  • 정태준(국립생태원 생태정보연구부) | Tae-Jun Jung 교신저자
  • 홍석환(부산대학교 조경학과, 생명산업융합연구원) | Suk-Hwan H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