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결혼이주여성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발전 방향 모색 KCI 등재

Seeking Recognition and Future Directions of Marriage-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and Multicultural Edu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30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이 인식하는 다문화의 개념과 다문화교육에 대해 알아보고, 다문화교육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세 명의 국제결혼이주여성과 면담을 통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들은 다문화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다문화강사들로 구성되어졌다. 이는 다문화교육을 직접 경험함으로써 더 깊은 생각의 틀을 구성할 것이라 기대되었기 때문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모두 다문화에 대한 개념이 긍정적인 개념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한국 사회에서 그 용어를 오·남용 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주여성들은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라는 용어가 다문화가족이라는 개념으로 잘못 사용되어지고 다문화가족이라는 용어를 만들어 국제결혼가정과 외국인근로자가정을 그 용어로 낙인찍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들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문화교육에서 하는 다문화이해교육, 문화간 이해교육을 넘어서 평등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이 필요하며, ‘다문화’라는 개념에 대한 올바른 교육이 필요할 것이라고 제언하고 있었다. 다문화교육이 다문화교육 안에 포함된 세부 내용만을 가르치기보다 한국에서 사용하는 ‘다문화’라는 용어에 대한 오용과 남용에 대해 인식하게 하고, 다문화나 다문화교육이 무엇인지에 대한 교육이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learn about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and multicultural education for marriage-migrant women. It also explored the future direc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o this end, this research strove to achieve the objectives through interviews of the three international migrant women. The participants were multicultural education instructor teaching multicultural education. All participants thought that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was a positive term, but had been misused and abused by people in Korean society. Marriage-migrant women thought that the term 'multicultural' in Korea were being improperly used to describe multicultural families. Multicultural families recognized that the term created a negative label for marriage-migrant women and foreign workers. They thought that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tercultural understanding beyond the educational equality, education and civic education can solve this problem. They made suggestions that proper usage of 'multicultural‘ is needed in Korea. Based on these findings,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recognize the misuse and abuse of the term 'multicultural' in Korea and teaching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a priority.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다문화교육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효선(연세대학교) | Hyosu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