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방문객 의식조사와 향후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f Future Utilization and Visitor Perceptions of the Suncheon Bay International Garden Expo 2013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36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2013년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가 폐막한 시점에 박람회를 관람한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한 의식조사 결과를 토대로 향후 대응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는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를 방문한 방문객을 대상으로 5~10월에 이루어졌으며 총 690부를 현장에서 배포하여 회수하였다. 수집된 설문지 가운데 유효설문지 627부를 SPSS, EXCEL Program 등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는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으로 평가한 점으로는 400만명 관람객 유치, 생태경관자원의 활용대안 제시, 창조경제의 새로운 모델제시, 순천시의 브랜드 가치 향상, 시민들의 자긍심 고취, 정원관련산업에 대한 기대 효과 등을 들 수 있다. 아쉬운 점으로는 정원관련 콘텐츠 부족, 정원관련산업분야 참여 미흡, 초기 운영미숙, 편의시설 부족, 기념품·지역특산품 부족 등을 들 수 있었다. 또한, 박람회장의 사후 활용방안에 대해서는 국제적인 생태 및 정원관련 테마파크, 창조형 문화예술 복합단지 등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박람회 개최의 가장 기본적인 취지와 목표는 생태 및 정원문화의 보급에 있다고 전제한다면 우선적으로 순천시민을 비롯하여 전남도민에게 생태·정원문화를 보급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생태·정원 연관산업 활성화를 위한 연구기관, 기업, 학회, 관련 단체 및 전문가로 구성된 정원문화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연중 이벤트 개최 및 대규모 회의를 유치하여 박람회장을 적극 활용하면서 지역민들의 지속적 관심을 유도하며 국내 제1호 국가정원을 추진함으로서 안정적 운영 및 관리체계를 구축, 그리고 정원문화 확산 및 정원 연관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개발 및 제도 도입이 요구된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measures needed for future exposition, based on a survey of visitor perceptions of the 2013 Suncheon Bay International Garden Exposition. The survey of visitors to the 2013 Suncheon Bay International Garden Exposition between May and October. A total o f 690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and returned at the site. Of the completed questionnaires, 627 vali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Microsoft Excel softwa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2013 Suncheon Bay International Garden Exposition received a positive evaluation overall. The aspects evaluated positively included attracting four million visitors, presenting measures for utilizing ecological landscape resources, presenting a new model for creating the economy, enhancing the value of the city of Suncheon as a brand, heightening citizens’ pride, and the anticipated effects of the exposition on garden-related industries. Critical feedback noted a lack of garden-related contents, insufficient participation of garden-related industries, initial inexperience in operating such an exposition, the lack of accommodations, and the lack of souvenirs and local specialties. Besides, It was worthwhile that the exposition venue could subsequently be utilized as a network of international ecology, a garden-related theme park, a creative culture and art complex, etc. If the fundamental goal of the exposition was to disseminate the ecology and the garden culture, active public relations required to Suncheon citizens as well as Jeonnam residents. It was also, required that the public interest of residents be continuously induced by establishing ‘the garden culture industry cluster’ including academic societies, research institutes, related organizations, companies, and professionals. Meanwhile, a stable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must be prepared for the 1st Korean national garden along with regulations of the garden culture and related industry.

저자
  • 송태갑(전남발전연구원) | Song, Tae Gab
  • 안기완(전남대학교 산림자원학부) | An, Ki Wan
  • 서성철(전남대학교 조경학과) | Suh, Sung Chul
  • 김은일(전남대학교 조경학과) | Kim, Eun Il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