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금호강의 부착규조 군집분석과 수질 변화비교 KCI 등재

Analysis of the Epilithic Diatom Community and Comparison of Water Quality in the Kumho Riv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47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부착규조 군집의 유기오탁지수 (DAIpo)에 의해 금호강의 수질을 평가하고 이전 수질과 비교하기 위하여 금호강에 5개의 정점을 선정하고, 2010년 4월부터 2012년 9월까지 매년 4월과 9월 총 6회에 걸쳐 채집조사를 실시하였다. 116종이 출현하였으며 2목, 3아목, 7과, 26속, 103종, 13변종으로 분류되었다. Achnanthes minutissima 등 10종이 우점하였고 하류로 갈수록 호오탁성종이 늘어났다. 부착규조 군집과 이화학적 요인과의 상관관계 (r)는 -0.62 ~0.71의 범위로 상관성의 범위가 넓었다. 두 규조지수 (DAIpo, TDI)가 총질소와 높은 상관성 (r=0.57, r=0.67)을 나타내어 총질소가 부착규조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DAIpo와 TDI는 상관계수 0.62로 나타났다. 평균DAIpo는 37.24~ 74.98이었고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수치가 낮아졌다. 금호강의 정점별 평균수질은 정점 1은 β-빈부수성수역, 정점 2는 α-빈부수성수역, 정점 3는 β-중부수성수역으로 이전의 수질과 변화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정점 4와 5는 α-중부수성수역과 강부수성수역으로 수질오염이 심하였으나, 이번 조사에서 β-중부수성수역으로 나타나 하류의 수질이 상당히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DAIpo를 이용한 종합적 수질평가인 RPId는 52.27로 금호강은 중간 정도의 수질로 평가되었다.

In order to assess the water quality of Kumho river using Diatom Assemblage Index to organic water pollution (DAIpo) and to campare from the previous water quality, 5 sites in Kumho river were selected and assessed total of 6 times, every April and September from April 2010 to September 2012. As a result, 116 taxa were found in 2 Order, 3 Suborder, 7 Families, 26 Genera, 103 species and 13 varieties. Saprophilous species of 10 dominant species including Achnanthes minutissima, were increased as going to downstream sites. Correlation coefficients (r) between epilithic diatom communities and physicochemical factors were from - 0.62 to 0.71. Correlation coefficients (r) between TN and diatom indices (DAIpo, TDI) were 0.57 and 0.65, respectively. Therefore, epilithic diatom communities were greatly influenced by TN. The Correlation between DAIpo and TDI measured to be high in correlation coefficient (r=0.62) from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Mean of DAIpo values ranged between 37.24~ 74.98 and decreased as going to downstream sites. Saprobic level was estimated as β-oligosaprobic at st. 1, α-oligosaprobic at st. 2 and β-mesosaprobic at st. 3. But st. 4 and 5 which were α-mesosaprobic and polysaprobic in the previous results, were improved as β-mesosaprobic. The RPId, general assessment of the water quality using DAIpo, was 52.27, which means the water quality of Kumho river was middle level.

저자
  • 최재신(경북대학교 생물학과) | Choi, Jaesin
  • 채현식(경북대학교 생물학과) | Hyunsik Chae
  • 김한순(경북대학교 생물학과) | Han-soon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