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안산천에서 청보리 혼파조합이 사초 생산성과 토양 특성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Barley Mixtures on Forage Produc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in Dry Riverbed of Ansanche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79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유기농업학회지 (Korea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한국유기농업학회 (Korea Association Of Organic Agriculture)
초록

하천부지에서 청보리와 월년생 두과작물을 혼파하여 사초 생산성과 토양 특성을 조사하였다. 안산천 하천부지에서는 청보리와 헤어리베치의 혼파조합이 다른 조합보다 건물 및 TDN 수량이 많았다. 그러나 수확 시 건물률은 청보리 단파가 가장 높았으며, 혼파조합 중에서는 청보리와 크림손클로버 조합이 다른 조합보다 높았다. 혼파조합의 조단백질 함량은 청보리와 헤어리베치 조합이 가장 높았으나 조지방과 TDN 함량은 가장 낮았다. 조사료 생산에 포함된 수질오염물질의 제거량은 청보리와 헤어리베치 조합이 유기물과 인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안산천에서 청보리 혼파조합의 토양특성은 질소 고정능력이 우수한 청보리와 헤어리베치 조합이 다른 조합보다 토양의 전질소(TN) 함량이 높았다. 반면 토양의 유기물 함량은 청보리 단파가 가장 많고, 혼파조합 중에서는 청보리와 크림손 클로버 조합이 유기물 함량이 높았다. 토양의 유효인산 함량은 청보리와 크림손 클로버 및 유채 조합이 높고, 청보리와 헤어리 베치 조합은 낮았다. 토양의 CEC 함량은 청보리와 헤어리 베치 조합은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청보리와 헤어리베치 조합이 사초 생산성이 우수하고, 조단백질 함량이 높고, 토양의 인산 함량이 낮아 하천변의 환경개선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forage produc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in mixtures of barley and annual legumes at riverbed. The dry matter (DM)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in barley and hairy vetch mixture were higher compared to other mixtures. Barley, single cropping was the highest in DM content. Comparing different mixtures, barley and crimson clover mixture was higher than other mixtures in DM contest. The crude protein (CP) content of barely and hairy vetch mixture was highest, but ether extract (EE) and TDN contents were lower than other mixtures. Barely and hairy vetch mixture significantly removed organic matter and phosphorus from riverbed through forage production (P<0.05). The total nitrogen (TN) of barley and hairy vetch mixture was highest because of high nitrogen fixation in riverbed soil. Single barley was highest in organic matter (OM) of soil. Comparing different mixtures, barley and crimson clover mixture was higher than other mixtures in OM contest. The available P2O5 of soil in barley and crimson clover mixture and barley and rape mixture were higher than others, and that of barley and hairy vetch was lower than other mixtures. The barely and hairy vetch mixture was highest in cation exchange capacity (CEC) content. Therefore barley and hairy vetch mixture is more suitable in forage mixtures because of high forage production and protein, and reduction of soil phosphorus in riverbed.

저자
  • 김종덕(천안연암대학 축산계열) | Kim, Jong-Duk
  • 고기환(계명문화대학교 골프코스 원예학부) | Ko, Ki-Hwan
  • 권찬호(경북대학교 축산대학) | Kwon, Chan-H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