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돈분액비의 시용수준이 벼 생육과 품질 및 토양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Application Rates of Liquid Pig Manure on Rice Growth, Quality and Soil Proper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85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유기농업학회지 (Korea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한국유기농업학회 (Korea Association Of Organic Agriculture)
초록

본 연구는 돈분액비의 시용수준이 벼의 생육, 수량구성요소, 수량, 미질과 토양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돈분액비의 시용수준은 벼의 추천 질소시용량인 9kg N/10a를 기준으로 하여 화학비료 질소 총량을 돈분액비로 대체하는 방법, 즉 100%, 130%, 160% 시용구를 두어 시용시험을 수행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초장과 분얼수는 돈분액비 100, 130% 시용구에서 화학비료와 대등하였다. 돈분액비 160% 시용구는 화학비료 시용구 보다 분얼수가 많았고 초장이 큰 과번무 상태를 나타내었다. 백미수량은 돈분액비 100% 처리구에서 410 kg/10a으로 화학비료 처리구에 비해 3% 낮은 수준을 보였으나 돈분액비 130% 처리구는 화학비료처리구와 대등한 수량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돈분액비 160% 처리구에서 화학비료를 시용한 구에 비해 5%의 수량 감소가 있었는데 등숙율 및 천립중 저하가 수량감소의 원인이었다.
백미의 단백질 함량은 돈분액비 100% 시용구에서 6.8%로 화학비료 처리구의 6.9%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돈분액비 130, 160% 시용구에서 7.20~7.68%로 높은 수준이었다. 식미치는 돈분액비 100% 시용구가 73.7로 가장 좋았고 돈분액비 160% 처리구에서 66.9로 식미치가 낮았다. 완전미 비율이 가장 높은 처리구는 화학비료구로서 92.2%이었던 반면 돈분액비 100, 130% 처리구에서는 약간 감소하였다. 돈분액비 160% 처리구의 완전미 비율이 88.9%로 가장 낮았는데, 주원인은 활청미의 비율이 높았기 때문이었다.
현미의 무기성분 중 질소농도는 0.92~0.99% 범위이었는데 처리간 유의적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벼의 10a당 질소흡수량은 화학비료시용구에서 15.1 kg으로 돈분액비 100% 시용구의 12.5 kg보다 높은 흡수량을 나타냈다. 돈분액비 100%, 130% 시용구의 토양 중금속 함량은 화학비료 시용구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돈분액비 160% 시용구 토양의 아연, 구리, 비소 함량은 화학비료 시용구 보다 높았다. 따라서 벼의 수량과 품질지수 측면에서는 돈분액비 130%가 유리하였다. 돈분액비 160% 시용구에서는 등숙률과 천립중이 낮아지므로 수량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돈분액비의 양분 이용률을 고려 할 때 130% 범위에서 시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벼의 수확량과 품질 그리고 토양의 중금속함량 감소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러나 돈분액비 160% 시용구 토양의 아연, 구리, 비소 함량은 화학비료 시용구보다 높았다. 따라서 벼의 수량과 품질지수 측면에서는 돈분액비 130%가 유리하였다. 돈분액비 160% 시용구에서는 등숙률과 천립중이 낮아지므로 수량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돈분액비의 양분 이용률을 고려 할 때 130% 범위에서 시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벼의 수확량과 품질 증대, 그리고 토양의 중금속함량 감소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effects of liquid pig manure (LM) on the yield and quality of rice as well as soil chemical properties were determined in the field of sandy loam soil under the different fertilizer management. Treatments consisted of 100%, 130% and 160% N application rates of liquid manure a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recommended rate of nitrogen (9 kg N/10a) for rice cultivation. Chemical fertilizer (CF) was used as control. Concentrations of T-N and T-P in paddy water were measured by 5-day intervals up to 20days after application. LM treatments significantly increased T-N concentrations in paddy water proportionally with increasing rates of LM (13.2 to 25.7 mg/L). Similarly Total-P content in paddy water was increased right after LM applications but was well below the quality standard of wastewater and manure. Plant height and tillers in 100% and 130% N LM treatments were lower than those in CF control. In the 160% LM treatment, however, plant height and numbers of tiller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CF control. Yields in 100% LM and 160% LM plots were decreased by 3 and 5%, respectively, as compared with 422 kg per 10a in the CF plot. Rice protein contents were similar between 100% LM and CF control (about 6.8%) but it was increased to 7.2% and 7.7% in 130% LM and 160% LM treatments, respectively. Toyo-taste value in the 100% LM treatment was higher than in CF control plot. The proportions of perfect grain of the brown rice were lower in 130% LM and 160% LM treatments than that in CF control. Soil organic matter content, heavy metal and exchangeable cations were highest in the 160% LM plot. Thus considering yield and quality of rice and heavy metals contents in soil, 130% N basal application of liquid manure can be recommended for rice cultivation in this experiment.

저자
  • 류종원(상지대학교 유기농생태학과) | Ryoo, Jong-W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