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재생건축의 디자인 특성 분석 KCI 등재

An Analysis of Design Characteristics for Remodeling cases in Domestic Architectu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92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세계적으로 에너지나 자원의 절약 및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은 시점에서 건축물의 재생은 환경, 생태적 측면의 접근뿐만 아니라, 기존의 자원이나 자산의 보존·재생에 의한 문화계승이라는 측면에서 높게 평가받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재생 건축물의 사례 연구를 통해 기존 용도의 변경여부, 기존 건축물 내·외부 보존 정도 및 방식, 공간 형태 및 프로그램 변경 등 다각도의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건축물 리모델링의 계획 방향 설정 시 참고 가능한 기초자료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용도변화는 기존 건물의 원용도를 새로운 용도로 변경하는 ‘전용형’이 6사례(75%)로 나타났고, 나머지는 원용도를 이어서 사용하는 ‘계속형’이었다. 전용형의 경우 원용도는 창고, 가압장, 공원 관리사무소로 다양하지만 모두 공공적 성격의 문화공간으로 변경되었다. 둘째, 공간변화의 유형과 공간 리모델링 시 원형의 보존 및 개조 수준을 조사한 결과, 외관은 부분개조를 하되 사례별로 원형의 형태, 재질, 색상 등의 보존 정도가 달랐다. 내부 역시 부분개조가 대부분이었고, 구조적, 기능적 보강이 필요한 부분에만 새로 보수를 하고 기둥, 벽면, 천장 등의 원형을 최대한 디자인에 반영하는 형식이었다. 셋째, 재생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가치요소 중 경제적 가치는 모든 사례에서 나타난 반면, 역사성과 기능적 가치는 사례별로 차이를 보였다.

The world paradigm of architecture is shifting from new building to architectural rehabilitation in terms of cultural succession based on saving and preserving energy and natural resourc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ous design elements of remodeling building, such as functional change, preservation level and method of structure, and space program and organize the database of what to consider when planning building renovation. The fin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functional change of six study cases is shown as ‘exclusive type’, which is the type of changing the original purpose of existing building into a new purpose, and the rest of cases are shown as ‘continuous type’, which the original and new purpose is the same. Even though the original function of study cases, which are classified as a exclusive type, is varied like warehouse, park administrative office, and water booster station, the new space function of all cases is changed into public cultural space. Second, the result for the analysis on preservation and renovation level of existing structure shows that most of the study cases do partial remodeling on building exterior. Only differences are the preservation level on shape, material, and color of existing structure. Moreover, the partial remodeling is done for the interior space like the building exterior. The differences are the design method how to deliver the column, wall, and ceiling of existing structure into the new space. Third, economic value, one of the values that could be acquired from the whole renovation process, is shown in all study cases, whereas both historical and functional value differ on a case-by-case basis.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재생건축의 이론적 고찰
  2.1. 재생건축의 개념
  2.2. 재생건축의 디자인 요소

3. 국내 재생건축 사례 분석
  3.1. 사례분석틀 작성
  3.2. 연구대상별 사례분석 결과
  3.2.1. 문화 공간 용도 사례
  3.2.2. 상업 공간 용도 사례
  3.3. 종합분석

4.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오정아(김포대학교 인테리어디자인과 강의전담교수) | Oh, Jung Ah
  • 장경수(김포대학교 인테리어디자인과 교수) | Chang, Kyung S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