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역적인 특색을 바탕으로한 공예문화산업의 성공사례 연구 - 통영(칠공예), 전주(방짜유기), 광주(솜씨) - KCI 등재

A Study on Successful Cases of Craft Industry Culture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93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공예산업의 활성화 문제점은 사회·문화적 트랜드에 대한 변화를 인지하지 못하고 과거의 생산체계를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전문 인력과 전시 및 판매할 수 있는 시설 등의 부족과 정책적인 지원체계 등 국가산업으로서의 인식과 체계가 부족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공예문화의 산업화를 꾀하면서도 장인이나 명인에게만 너무 의존하는 인식과 접근법에도 문제가 있다. 생활양식의 변화와 새로운 트렌드 분석, 현대적 디자인 적용, 편익성과 효용성 등은 물론이거니와, 공예 본연의 의미인 실생활에 사용되는 조형물로 전통과 기술 그리고 문화를 내포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영세한 소규모의 가내수공업적 제작환경과 수요에 대한 분석 및 디자인과 기술개발 등의 지속적인 투자와 전문 인력 양성 등의 어려움이 악순환을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적 기반에도 불구하고 지역적으로 성공한 산업화 유형분석을 통해 공예문화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첫째, 지역적 특색을 띄고 있는 공예의 특징을 활용한 협업체계의 구축, 둘째, 공예가 생활 속 예술품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저변확대, 셋째, 공예를 산업으로서 접근하는 인식, 넷째, 전통성, 예술성, 편익성 등을 포함하고 있는 복합산업으로서의 통합브랜드 구축 등을 성공요소로 도출하였다.

Tradition, artistry, and convenience. There are revitalization problems in the craft industry, which are caused by the adherence to past production system and a lack of awareness of current social and cultural trends. Other difficulties lie in the area of insufficient manpower, lack of facilities for exhibition/sales and political support systems by government that there is little recognition of the craft industry as a national industry. Furthermore, the craft industry relies almost exclusively on master craftsmen and experts to promote itself. The craft industry needs to recognize lifestyle changes, social trends, application of modern design, convenience and utility, and it also needs to feature tradition, technology and culture in its production. There are several factors that cause the craft industry to go in vicious circles, such as small-scale cottage industrial production environment and a lack of analysis of demand. The industry needs to continuously invest in the cultivation of manpower and improve its technology. The research tends to suggest the directivity for revitalization of craft culture industry through the analysis of forms of industrialization that are based on regional success. Through this study, four success factors are revealed: 1)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system utilizing characteristics of craft that reflect regional features, 2) foundational expansion for crafts to function in everyday life, 3) recognition of craft as an industry, and 4) the establishment of integrated brands as a complex industry which includes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공예와 공예산업의 이론적 고찰
  2.1. 공예의 개념
  2.2. 공예산업의 개념

3. 성공사례 연구
  3.1. 통영시의 옻칠과 칠기 공예
  3.2. 전주시의 방짜유기 공예
  3.3. 광주시의 사회적기업 유)솜씨

4. 결론
  4.1. 공예문화산업의 활성화 방안
  4.2. 시사점

참고문헌
저자
  • 박혜원(호남대학교 예술대학 산업디자인학과 교수) | Park, Hae 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