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정신문화 중심도시 조성을 위한 공간디자인 정책연구 KCI 등재

A space design policy study for the creation of a hub city for Korean spiritual cultu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94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박근혜 정부는 국정기조 및 문화융성차원의 3대 국정과제로서 ‘인문·정신문화 진흥’을 제시하고 있다. 경북도 역시, 인문·정신문화의 본산으로서 신 도청 일원에 정신문화 중심도시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균형발전을 위하여 정신문화 중심도시 조성에 필요한 공간디자인 정책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관련 문헌연구를 통하여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정신문화 중심도시 조성에 필요한 관련 문헌연구 및 국내외 사례수집 을 통하여 정성적 방법으로 분석한다. 공간디자인 정책적 방안으로는 첫 번째, 정신문화 중심도시 추진단계로서 대응투자계획, 재원조달계획, 사업추진에 의한 운영조직구성, 사업평가단 운영을 제안하였다. 두 번째, 정신문화 중심도시의 계획단계로는 사업조성의 당위성, 비전 및 목표, 기본전략, 공간계획 순으로 정신문화 중심화를 위한 공간디자인 정책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한 파급효과로는 정신문화콘텐츠를 활용한 부가가치 창출 및 지역 문화역량강화가 기대된다. 특히 거시적으로는 국가균형발전 모델로서 국가 브랜드 가치가 제고되고 미시적으로는 경북 신도청 일원이 정신문화 수도이며 한류 문화의 상징성으로서 대표되며 저변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

As part of its national agenda and one of the government’s top three plans to advance culture,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proposes to promote a “humanities and spiritual culture.” This study proposes spatial design policies to underpin the creation of a Korean hub city of spiritual culture, contributing to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It also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by exploring related literature, conducting a qualitative analysis by studying the literature and collecting case studies in Korea and abroad to guide the creation of a hub city of Korean spiritual culture. For the first stage of the spatial design policy (promoting the hub city), this paper proposes an investment plan, funding plan, and structure for an operational organization based on business and the work of a business evaluation team. For the second stage (planning the hub city), it offers a rationale for the project, as well as a vision, an objective, basic strategy, and a spatial plan. This hub city is expected to create, through a ripple effect, added value through spiritual culture, and the reinforcement of regional cultural strengths. On a macro level, the national brand value will be enhanced as a model for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on a micro level, we can expect Gyeongbuk’s new provincial government building area to become the capital of spiritual culture and a symbol of the Korean wave.

목차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정신문화 중심도시의 이론적 배경
   2.1. 정신문화의 개념
   2.2. 정신문화 중심도시의 개념

3. 국내외 정신문화 중심도시 조성사례
   3.1. 국내 문화도시 조성사례
   3.2. 국외 문화도시 조성사례

4. 정신문화 중심도시 공간디자인 정책방안 
   4.1. 정신문화 중심도시의 추진단계
   4.2. 정신문화 중심도시의 계획단계

5. 결론

참고문헌
저자
  • 한정엽(남서울대학교 환경조형학과 겸임교수) | Han, Jung Yeo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