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아동 친화적 환경 조성을 위한 디자인 KCI 등재

Design for the Creation of Child-friendly Environ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95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인간은 환경과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서 발달하며 특히 아동은 건전한 성장과 발달을 위해 환경적 요인이 더욱 중요하다. 아동 친화적 환경은 아동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아동의 욕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기본적인 아동의 권리를 보장할 수 있도록 조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성장과 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환경의 요소를 포함하여 환경의 요인을 범위로 아동 친화적 환경의 개념을 도입한 아동 친화 환경 디자인의 토대를 만드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 친화적 환경을 정의하기 위해 유니세프와 유엔아동권리협약에서 제시된 기본 전제들을 개념화하였다. 둘째, 아동 친화적 환경을 디자인하기 위해서 생태학적 이론, 사회적 배제 이론에 근거하여 아동과 관련 있는 환경 요소들을 다차원적, 구조적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친화적 환경 디자인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정책목표를 설정하고 비전을 제시하여 친화적 환경 디자인의 전략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아동 친화적 환경은 아동에 대한 영향력을 고려하여 조성되어야 하고, 최소한의 안전과 건강을 보장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 되어야 한다. 또한 환경과 관련된 모든 사항에 대해 아동의 참여를 보장하고 아동 중심의 예산이 공정하게 분배될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야 한다.

Human beings develop through ceaseless interaction with environment, and particularly, environmental factors are all the more important for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The child-friendly environment should be created in such a way that the desire of children is positively reflected as child-oriented paradigm and basic rights of children can be guaranteed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ay the foundation for child-friendly environmental design that adopts the concept of child-friendly environment based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the environmental elements that can help promot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basic premises presented in UNICEF(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and UNCRC(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were conceptualized to define child-friendly environment. Second, environmental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ren were analyzed multi-dimensionally and structurally based on ecological theory and social exclusion theory in order to design the child-friendly environment. Third, policy objectives were established to lay out the child-friendly environmental design, and furthermore, the vision was presented to propose the child-friendly environmental design strategy. As a result, the child-friendly environment should be organized in light of the influence on children and monitored to ensure at least the minimum safety and health. In addition, the design should be made in such a way that the participation of children is reassured in all matters related to environment and that the children-oriented budget can be allocated in a fair and impartial manner.

저자
  • 김젤나(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Kim, Jel 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