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통자수의 문화상품 개발 연구 KCI 등재

A Study for Development of Traditional and Cultural Produc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623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문화상품이란 자국의 문화. 역사적 요소 및 자원이 시대적 조건에 맞는 심미적 요소와 첨단산업기술을 복합적으로 투입하여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복합체를 말한다. 동시에 문화상품은 한 나라의 문화가 총체적으로 응집된 상품을 뜻하며, 고부가가치 창조형 산업이면서 자국문화의 고유성 및 특성을 살려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에서 제작자의 전문성 및 창의력이 상품 경쟁력을 결정하는 지식창조형 산업이다. 따라서 어느 산업보다 첨단 소프트웨어 기술과 문화 창조능력이 요구되는 유망산업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문화상품에 대한 국가정부의 인식순준은 높으나 민간자본의 협력관계를 조성하는 기반이 미흡하다.
전통자수는 우리의 사상과 미의식이 투영된 소중한 문화유산이며 차별성 있는 문화산업화로 국제경쟁력 시대에 대응해야 한다. 중국과 영국의 도자기, 일본의 칠기 등과 같이 우리의 전통 자수도 시대에 맞는 문화상품으로 개발하여 세계적으로 우수한 문화상품으로 발전되어야하겠다.

What are cultural products of their culture. Historical elements and historic resources that meet the criteria aesthetic element techniques in combination with the high-tech industries that add value by putting complex economic means. Cultural products at the same time a country's culture as a coherent whole means goods, high value the uniqueness of their culture yimyeonseo changjohyeong industry alive and attributes to create new value in the process the author's expertise and creative knowledge to determine product competitiveness changjohyeong industry. Thus, state-of-the-art software technology and culture than any industry that requires creative skills can be called a promising industry. However, the cultural products of our country recognized net of the national government gave high but that creates a partnership of private capital is based is insufficient. Traditional embroidery ideas and aesthetics of our precious cultural heritage of the projected industrialization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cultural distinction should respond to the era. Sino-British pottery, lacquer ware, such as Japan's traditional embroidery of the times we meet with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in the world will be developed as an excellent cultural products.

목차
영문초록

Ⅰ. 연구의 목적 및 방법

Ⅱ. 문화상품에 대한 일반적 고찰
    1. 문화상품 개념과 범위
    2. 문화상품 개발의 중요성

Ⅲ. 문화상품으로서 자수
    1. 전통자수 의의
    2. 문화상품으로서 전통 자수
    3. 문화상품 현황 및 문제점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
  • 남구희(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외래교수) | Nam, Ku H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