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uccessful design for traditional culture goods
전통문화상품의 대중화와 글로벌화, 현대화를 위한 디자인경영이 필요하며 소비자 요구를 접목한 공예상품으로의 시장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 전통문화상품은 제품디자인을 통한 감성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하고 국내외 고객에 감동을 줄 수 있는 혁신적 디자인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한국 고유문화의 이해를 통한 디자인은 전통문화상품에 대한 인식 제고와 시장 쉐어 확장으로 표출될 것이다.
공예문화상품은 관광기념품, 생활용품, 장식품 등으로 지속적 수요창출이 가능하며, 새로운 소재 및 상품의 개발로 성장이 유망하다. 그러나 현재 전통적인 수공업 위주로 제작되고 있으며, 자체홍보물 제작이나 공동전시회 등을 통한 국지적 홍보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향후 생산과 유통의 전문화가 절실히 요구된다. 먼저 수요층이 정확히 파악된 시장성을 예측하여 소비자의 구매 욕구와 트렌드에 부합되는 전통문화상품을 디자인하고 개발함으로써 부가가치를 높이는 고품질 상품개발로 안정성과 확산을 높이는 제품디자인 개발이 되어야 할 것이다.
Design management is needed for the popularization, globalization and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culture goods. We must secure market competitiveness as cultural crafted products which are grafted consumer requirements. Traditional culture goods need to developed the innovative design that can maximize emotional marketing effects, create an impression to domestic and foreign customers. Design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Korean native culture will be expressed to awareness-raising in the traditional culture goods, expansion of the share of market.
Cultural crafted products can create a continuous demand by a tourism souvenir, household item and decoration. Also they are promi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new materials, products. But they are greatly required to specialize in production and circulation because they are produced by conventional manual industry and publicized locally, for example its’ promotional materials and joint exhibitions. First, we must design and develop traditional culture goods which are corresponded to consumer’s purchasing need and trend by assessing the needs and tastes of the new consumers. And then we must create added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goods through the product design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