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산림탄소흡수원 증진을 위한 정책수단의 우선순위 결정 KCI 등재

Determination of Priorities in the Forest Carbon Sink Enhancement Policies in the Republic of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63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탄소흡수원으로써의 산림부문의 중요성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정책들이 고려되고 있다. 제한된 예산과 자원 여건 하에서 정책의 효율성을 추구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최고최저조정법을 이용하여 산림청의 10대 산림 탄소흡수원 증진 정책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산림 분야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산림경영방식 및 시업체계 개선, 조림 및 식생복구 확대, 산림바이오매스 에너지 활용 및 이용시설 증대, 임목수집 시스템 및 재활용 체계 개선, REDD+ 사업 참여 확대 순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향후 국내 산림탄소흡수원 확충을 위한 정부 핵심 정책을 수행함에 있어서 우선순위를 정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o secure effectiveness of policies under the limit of budget and resource availability, this research sought to determine priorities among forest carbon enhancement programs of Korea Forest Service by utilizing the best-worst scaling method. Results of expert surveys reveal that on average improvement of forest management plan and practice, afforestation/rehabilitation, expansion of biomass energy use and facilities, and enlarging REDD+ programs were among the most important. Results allow the government to make decisions about the priorities of forest carbon enhancement policies.

저자
  • 장재봉(영남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 Jae Bong Chang
  • 이요한(영남대학교 박정희새마을대학원) | Yohan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