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광용적맥파와 정량적 감각검사의 비교를 통한 진단적 유용성 KCI 등재

Diagnostic Usefulness of Quantitative Sensory Test Comparison with Photoplethysmograph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644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한국방사선학회 (The Korea Society of Radiology)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당뇨병 및 신경병증의 병력이 없는 17명의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정량적 감각검사(QST)와 광용적맥파(PPG)와의 비교를 통해 정량적 감각검사의 임상적 유용성을 파악하는 것이며, 광용적맥파 검사를 이용한 혈당수치에 따른 자율신경계의 부교감신경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혈당검사와 광용적맥파 검사를 실시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혈당수치에 따라 자율신경계 부교감신경이 느려지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정량적 감각 검사가 주관적 평가에 의한 검사이기는 하나 검사의 민감도를 신뢰할 수 있다고 보이며 따라서 말초 신경의 평가도구로서 정량적 감각검사가 당뇨병성 신경병증 등의 진단의 민감도를 높이는데 폭넓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광용적맥파 검사가 심박변화율에 의한 자율신경계를 평가하는 후속연구에 기초자료연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sensitivities of two tests, QST(quantitative sensory test)and PPG(photoplethysmography) in normal adults. We evaluated the sensory thresholds of QST and PPG and diabetes mellitus test in 17 normal adults. The finding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The diagnostic sensitivities of QST was similar to PPG. There is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Blood sugar and parasympathetic nerve in ANS. Concluded that the QST might be complement to NCS for early of diabetic polyneuropathy. A new diagnostic approach, QST was introduced and exploited for diagnosis. This study provides support for PPG performed a ANS analysis.

저자
  • 이상봉((재)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 Sang-Bong LEE
  • 서정혁((재)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 Jeong-Hyeok SE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