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서울시 근교에 위치한 도시숲 군집구조 분석 KCI 등재

Community Analysis of Urban Forest around city of Seou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649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도시 숲에 속해 있는 불암산, 대모산, 봉화산 3개 산을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하였다. 불암산 군집분석 결과 소나무(Pinus densiflora)-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서어나무(Carpinus laxiflora)-리기다소나무(Pinus rigida),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팥배나무(Sorbus alnifolia)로 나왔으며 대모산의 군집은 리기다소나무-일본잎깔나무(Larix leptolepis), 현사시나무(Populus tomentiglandulosa)-물박달나무(Betula davurica Pall)로 구분되었다. 봉화산의 군집분석 결과 소나무-팥배나무와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벚나무(Prunus serrulata)로 구분되었다. 불암산, 대모산, 봉화산의 지역별 유사도에서는 불암산과 대모산의 유사도 지수가 0.634로 높게 나와 비슷한 식생들이 분포하고 있으며 다른 지역보다 대모산 지역의 우점도가 0.166으로 다수의 종이 우점한다. 또한 종다양도 분석결과 대모산이 가장 안정된 상태를 이루고 있으며 종다양도, 최대종다양도, 균재도는 불암산, 봉화산, 대모산 지역으로 갈수록 높아지고 우점도는 불암산, 봉화산, 대모산 지역으로 갈수록 낮아진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he vegetation clustering analysis for the 3 mountains of Mt. Bulam, Mt. Daemo, Mt. Bonghwa which were the urban forests of Seou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lated to the vegetation clustering, it was found that the clustering of Mt. Bulam consisted of pine trees(Pinus densiflora)-Mongolian oak(Quercus mongolica), Hornb eam(Carpinus laxiflora)-Pitch pine(P. rigida), oriental oak(Q. variabilis)–a wild pear tree(Sorbus alnifolia) while the clustering of Mt. Daemo consisted of Pitch pine-Japanese larch(Larix leptolepis), Poplar(Populus tomentig landulosa)- black birch(Betula davurica pall). Meanwhile, the clustering of Mt. Bonghwa consisted of pine trees-a wild pear tree Community and Sawtooth oak(Q. acutissima)-Cherry Blossoms(Prunus serrulata). In relation to the similarity index by region in Mt. Bulam, Mt. Daemo, and Mt. Bonghwa, the similarity index of Mt. Bulam and Mt. Daemo stood at as high as 0.634, suggesting the distribution of similar vegetation, and the dominance index of the Mt. Daemo region was found to be 0.166 which suggests the dominance of many species compared to other regions. In addition, the results of species diversity showed that Mt. Daemo had the highest stability, and the species diversity, maximum species diversity, evenness indices were highest in Mt. Bulam, followed by Mt. Bonghwa and Mt. Daemo. The dominance index was the lowest in Mt. Bulam, followed by Mt. Bonghwa and Mt. Daemo.

저자
  • 노유미(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 Yu-Mi Ro
  • 강희준(협성대학교 도시공학과) | Heejun Kang
  • 이상돈(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 Sang-don Lee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