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등학교 과학 교과의 효과적인 수업 방법에 대한 고등학생과 과학교사들의 인지프레임 특성 KCI 등재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Cognitive Frame about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High School Science Subjec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652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과학 교과의 효과적인 수업방법에 대해 고등학교 과학교사들과 고등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인지프레임을 조사하고, 그들이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과학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75명의 고등학교 과학 교사와 275명의 고등학생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데이터는 언어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하여 단어 분석과 프레임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은 문제해결능력과 탐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생 중심의 수업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반면 고등학생들은 교사들이 충분한 자료를 제시하여야 하고 대학 진학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수업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두 집단은 모두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인지프레임을 가지고 있다. 특히 두 집단은 융합 또는 통합이라는 요소를 그들의 인지프레임에 연결시키지 못하고 있고, 여러 과학 분야의 내용들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교사들이 고등학교 과학 교육과정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현직 연수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We investigated the cognitive frame of high school students and inservice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about effective teaching method, and we also explored how they understood about the teaching methods suggested by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Data were collected from 275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and 275 high school students. We analyzed data in terms of the words and the cognitive frame us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erceived that an activity oriented class was the effective science class that helped improve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their inquiry skills. The students had the cognitive frame that their teacher had to present relevant and enough teaching materials to students, and that they should also receive assistance from teachers in science class to better prepare for college entrance exam. Second, both students and teachers retained the cognitive frame about the efficient science class that was not reflected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exactly. Especially, neither groups connected the elements of ‘convergence’ as well as ‘integration’ embedded across science subject areas to their cognitive frame nor cognized the fact that many science learning contents were closed related to one another. Therefore, various professional development opportunities should be offered so that teachers succinctly comprehend the essential features and the intents of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thereby implement it in their science lessons effectively.

저자
  • 박경진(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Kyeong-Jin Park
  • 이준기(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과학교육연구소) | Jun-Ki Lee
  • 정덕호(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과학교육연구소) | Duk Ho Chu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