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어휘 평가 문항의 유형과 실제 -대학수학능력시험 ‘한문’의 평가 문항을 중심으로- KCI 등재

A Type and Reality of Vocabulary Evaluation Items - ‘Classical ChineseⅠ’ Evaluation Items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詞彙評價的考题類型狀況 -以大學修學能力考試中漢文課文卷為中心-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697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본고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개발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한문과 교육과정 ‘어휘’ 관련 내용과 적용의 실제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간극을 최소화하기 위해, 2010학년도 본수능부터 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까지의 평가 문항을 중심으로 그간 한문과에서 실시된 ‘어휘’ 관련 평가 문항의 내용 요소와 내용 요소별 평가 유형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그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출제된 어휘 관련 평가 문항들은 한자 어휘와 관련된 다양한 평가 요소를 고루 반영하고 있으며, 그 유형도 변화를 거듭하여 다양한 유형으로 안착된 상태였다. 하지만 급변하는 교육 환경 속에서 한문과가 위상을 공고히 하면서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현재 상태에 안주할 것이 아니라 끝임 없이 새로운 평가 요소를 개발하고 해당 요소에 적합한 유형의 문항을 출제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was analyzed Chinese curriculum implemented ‘Vocabulary’ related to content elements of evaluation questions and each content element of evaluation types Focused on the evaluation questions from 2010’s SAT to 2016’s Simulation Assessment. This is because 2015 revised curriculum in order to minimize the gap that may occur between Chinese curriculum ‘vocabulary’ relevant content and the actual application.
As a result. the Scholastic Aptitude Test of evaluation items in the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reflected a variety of factors likes vocabulary related questions. Also, That type of state was seated repeated changes in various types. However. while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Classical Chinese of phase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t is not to be complacent with the current state without enabling infinite Evaluation factors and questions to develop a new type of items appropriate for that element.

韓國正在準備2015修訂教育課程,本文分析了從2010年修能考試到2016年的模擬考試內的“詞彙领域”有關的評估考题,而分到內容元素和考题類型,以便盡量減少課程里“詞彙领域”有關的內容與實際應用之間的差异。
通过研究得到了以下結果 : 詞彙評價考题是反映了各種學習內容因素 ; 類型也是各類继续變化发展。然而,现在环境上有必要加強漢文教育的地位,不是只滿足目前的狀態,还继续努力开发考题、各種新类型都是符合教育課程內容。

목차
Ⅰ. 서론
Ⅱ. 평가 요소와 출제 경향
Ⅲ. 평가 문항의 유형과 실제
Ⅳ. 결론
저자
  • 윤지훈(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 Yoon, Ji-H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