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다문화가정 학생 언어교육의 국내외 현황 및 언어교육 강화 방안 KCI 등재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of language education policy for linguistic minority stu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7654
  • DOIhttps://doi.org/10.14328/MES.2015.9.30.19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다문화교육연구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한국다문화교육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KAME))
초록

언어는 사회 및 집단의 주요한 문화유산이자 소통의 도구이며 소속 구성원 간 이해와 연대의식, 소속감 과 애착을 형성하는 토대이다. 따라서 공존과 통합이 중요한 사회적 과제로 부상한 다문화 시대에, 다문화 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언어교육은 매우 중요한 정책 아젠다가 된다.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언어교 육 정책은 사회의 공식 언어를 교육하는 것과 학습자의 제1언어를 유지, 계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계승 어 교육 혹은 이중언어교육으로 구분된다. 공식 언어를 교육함으로써 사회 통합을 도모하는 동시에 제1언 어의 습득 기회를 보장함으로써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개인이 지닌 교육적 자산을 최대한 활 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2006년 다문화 교육이 정책 아젠다로 등장한 이후, 다문화 언어교 육 정책은 비교적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많은 가시적인 변화와 성과를 달성해 왔다. 이제는 그간 축적 해 온 교육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과 정책의 전문화 및 세분화를 모색할 시점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 구는 바람직한 다문화 언어교육을 위한 국가 정책 차원의 목표와 원리, 접근 방식 등을 제안하고자 하였 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정 학습자의 언어 발달 원리를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일본․독일․캐나다․미국 등, 주요 국가의 다문화 언어교육 정책을 고찰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KSL) 교육과 이중언어교육의 현황을 검토하여, 정책 측면, 프로그램 측면, 운영 측면에서의 약점과 강점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문화 언어교육 강화를 위한 방안을 교육 목표, 교육과정, 교수-학습, 운영체 제, 교강사 운영, 학교-가정-사회의 지원 체제별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of language education policies for linguistic minority students. Based on the analysis of research on language development of diverse students, language education policies of multicultural societies such as Germany, Canad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d the current KSL and bilingual education in Korea, this article suggests improvement plans for multicultural language education. First of all, language education for students from diverse families sh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cademic achievement and bilingual literacy, educational equality, and global citizenship required to function effectively in this globalized world. Standard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It is also required to develop effective instruction models and share exemplary practices. All students in need of KSL and bilingual education have the right to be taught by high-quality teachers.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students whose first languages are not Korean introduces more accountability for teachers, schools, and education offices.

목차
Ⅰ. 서 론
 Ⅱ. 다문화가정 학습자의 언어 발달과 언어교육
 Ⅲ. 다문화 언어교육의 국제 동향
  1. 일본의 다문화 언어교육
  2. 독일의 다문화 언어교육2)
  3. 캐나다의 다문화 언어교육
  4.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다문화 언어교육
  5. 해외 사례의 시사점
 Ⅳ. 국내 다문화 언어교육 현황
  1. 한국어(KSL) 교육 현황
  2. 이중언어교육 현황
 Ⅴ. 다문화 언어교육 강화 방안
  1. 다문화 언어교육의 목표
  2. 다문화 언어교육의 교육과정
  3. 다문화 언어교육의 교수-학습
  4. 다문화 언어교육의 운영 체제
  5. 다문화 언어교육의 교강사 운영
  6. 다문화 언어교육을 위한 학교-가정-사회의 협력 체계 구축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모경환(서울대학교) | Mo, Kyung-Hwan
  • 이재분(前한국교육개발원) | Lee, Jae-Boon
  • 홍종명(한국외국어대학교) | Hong, Jong Myung
  • 임정수(서울대학교) | Lim, Jeong S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