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무조음악의 성부진행 이론을 통한 다층적 성부진행 연구 -쇤베르크 《6개의 피아노 소곡》 Op.19, No.6을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f Voice-Leading Structure of Atonal Music through Voice-Leading Systems: Analysis of Schoenberg's Six Little Piano Pieces, Op. 19, No. 6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9160
  • DOIhttps://doi.org/10.16939/JMSK.20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서양음악학 (Journal of the Musicological Society of Korea)
한국서양음악학회 (The Musicological Society Of Korea)
초록

본 논문에서 필자는 쇤베르크(Schoenberg, 1874-1951)의 《6개의 피아노 소곡》 Op. 19 No. 6을 보다 수평적인 관점의 ‘선율선’(musical line)에 초점을 맞춰 작품에 내재된 구조적 집합들 사이의 ‘성부진행’을 분석한다. 분석을 위해 택한 방법론은 스트라우스(Joseph Straus)의 오프셋(offset) 개념을 통한 성부진행 이론과 필자의 동일 구성음 배열 체계에 따른 최대 근접 성부진행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필자는 작품의 수직적, 수평적 차원뿐만 아니라 미시적, 거시적 관점에 이르기까지 작품의 다양한 계층에서 매우 유기적으로 연관된 ‘수평적 성부진행’의 구조를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필자가 제안한 시스템이 무조음악 작품의 구조 적 응집성을 밝히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같은 작품에 대한 다른 해석을 보여주는 필자의 시도는 새로운 분석 방법론을 통한 접근이 무조음악 안에 숨겨 진 또 다른 다양한 의미 해석의 가능성을 넓힐 수 있음을 보여준다.

In this paper, I have analyzed Schoenberg's Six Little Piano Pieces, op. 19, no. 6 in terms of a musical lin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voice-leading system latent in atonal music. Prior to the analysis, I have closely examined Joseph Straus's voice-leading theory in which the offset number distinguishes efficiency of the voice leading among distinct set classes in set-class space and then proposed my own smooth voice-leading systems which make possible more efficient arrangement of pitch-class set space than Straus's. A close examination through this analytical approach has verified the organic integration inherent in the piece in various points of view. Especially, by the horizontal viewpoint focusing on a musical line, I could demonstrate the coherent voice-leading structure in multiple levels of structure and suggest a new interpretation.

목차
1. 들어가면서
2. 무조음악의 성부진행 이론
3. 분석
4. 나가면서
저자
  • 김예진 | Yeaji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