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작업치료사의 역량수준 진단 연구 KCI 등재

Competency Level Diagnostic Study for Occupational Therapists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973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작업치료사의 역량지표를 토대로 작업치료사의 역량수준을 진단해 보고, 다양한 변인 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작업치료사의 역량 진단을 위해 Ku (2014)가 역량모형 연구 과정에서 개발한 작업치료사 역 량지표를 사용하였다. 역량지표로 질문지를 구성하여 임상 작업치료사에게 직접 실시하거나 우편으로 실 시하여 총 337부를 회수하였다. 응답 결과를 통해 역량지표의 중요도와 보유도의 인식수준 차이를 알아 보고, 성별, 근무 병원 유형 등 다양한 변인 간의 집단 차이를 검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사가 평정한 역량지표의 중요도는 4점대 중반의 높은 수준을 보인 반면, 자가진단한 역량 보유도 인식수준은 3점대 후반으로 중요도보다는 전반적으로 낮은 평균 수준을 나타냈다. 변인 간 차이 를 분석한 결과, 남자가 여자보다 전문가의식과 자기관리 역량이 높았으며, 3년 이상 경력자가 이론적 지식, 작업치료 수행, 자기관리에서 높게 나타났다. 연령은 30대 이후에서 대체적으로 역량 보유도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지표의 중요도와 자신이 보유한 역량을 스스로 진단해 봄으로써 작업치료사가 역량을 유지하고 발전시켜 나가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작업치 료사들을 교육 훈련시키기 위해 필요한 교육내용의 방향성을 제시해 줄 것이다. 주제어 : 역량지표, 역량 진단, 작업치료사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agnose the competency level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analyze the difference among variables.

Methods : We used the competency index for occupational therapists, developed by Ku (2014), to conduct the competency level diagnosis. After making the survey questionnaires, we conducted the survey directly or via email with 337 respondents. We analyzed the importance of the competency level and the difference in competency retention level, and verified the difference among variables including gender and the type of working hospital.

Results : The importance of the competency level rat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was the high level of mid-point 4, whereas the competency retention level rat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themselves was generally lower than the importance level (3 point for 50s and above). After analyzing the difference among variables, we found that male therapists had a higher consciousness expertise and self-management competency than female therapists, and the therapists with more than 3 years of experiences had a higher rating in terms of theoretical knowledge, performance, and self-management. We also found that the therapists with a Master’s degree or higher, and aged 30 years or older, generally had a higher competency retention level.

Conclusion :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maintain and develop the competencies through a selfdiagnosis of the importance of the competency index and competency retention level for occupational therapists. In addition, this study will also provide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content necessary for the continuing educ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저자
  • 구인순(한국장애인고용공단) | Ku, In‑Soon
  • 정민예(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Jung, Min‑Y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