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게임에서의 협동성 요인이 심리적 관계 요인과 오프라인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Influences of Cooperative Games on Psycosocial factors and Offline Social Particip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90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한국게임학회 (Korea Game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게임이 가지는 사회적 역할을 탐색하고자 협동성을 요구하는 게임과 오프라인에서 목격되던 대인간의 관계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속성들과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구체적으 로 협동성을 요구하는 게임 이용이 심리적 속성인 자기노출과 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 펴보고, 이러한 심리적 속성들과 오프라인 사회 참여와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설문을 실시한 결과, 협동성을 요하는 게임을 많이 이용할수록 자기노출과 친밀감이 증가하고, 자기노출과 친밀감이 커질수록 오프라인 사회참여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에 대한 함의나 논의점이 본문에 제시되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social sides of games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ve games and psychological factors determining social relationships (i.e., self-disclosure, intimacy) and how such psycosocial factors influence offline social participations. Utilizing both online and offline survey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mount of time spending on cooperative games have a positive impact on self-disclosure and intimacy.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users' self-disclosure and intimacy influence offline social participation.

저자
  • 이종욱(한림대학교 대학원 인터랙션 디자인) | Jong Wouk Lee
  • 이선영(한림대학교 대학원 인터랙션 디자인) | Sun Young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