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게임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한 게임 분석 방법에 대한 고찰 KCI 등재

A Study on the Game Analysis Methods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Game Compon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91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한국게임학회 (Korea Game Society)
초록

세계적으로 게임 산업의 경쟁이 심해면서 기획력이 성공의 열쇠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한국 게임은 기획력 부족 논란으로 경쟁에 뒤쳐지며 해외 진출에 제동이 걸렸고 반대로 해외 게임에 국 내 점유율을 잠식당하는 위기에 처해 있다. 기획력을 높이기 위해 게임에 대한 이해가 선결 과제이 며 게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게임 분석은 가장 좋은 방법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게임 분석 방법은 실무에서 사용되고 있는 세부적인 구성요소까지 분류되지 못했고 게임 디자인 외적인 부분 을 고려하지 못한 채 추상적이고 한정된 범위에서 이루어져왔다. 본 논문에서 ‘인간의 역할’과 ‘게임 분석의 영역’의 2축을 기준으로 한 H-G모델을 제안하고 게임 분석 방법을 9가지 유형으로 분류하 였다. H-G모델에 선행 연구를 매핑한 결과 기존의 연구들은 2가지 유형에 한정되어있음을 확인하 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앞으로의 게임 분석에 대한 연구가 H-G모델을 통해 제안한 9가지 유형을 고려한 통합적이고 체계적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The game industry has been seeing rapid change brought on by the competitive environment globally. As a result, game design skill is being magnified as a key to success. Because of lack of game design skills, Korean game market is in crisis recently. The game analysis is necessary to enhance game design skills. However, criteria and definition of game analysis is not clear and it is difficult to use for game development. This paper will suggest H-G model which has two factors that are ‘human role’ and ‘the scope of game analysis’. This model segments 9 types of game analysis method. This study finds the limitation of leading researches and tries to improve it mapping the major leading researches to H-G model. This paper would help to make the game analysis be integrated and systemic research as regards 9 types of H-G model.

저자
  • 남기덕(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게임학과) | Ki-Teok Nam
  • 윤형섭(상명대학교 게임학과) | Hyung-Sup Yo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