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이산화염소 처리에 따른 화랑곡나방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 활성 증가와 음성주광성 행동 변화 KCI 등재

Enhanced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of the Indianmeal moth, Plodia interpunctella, Under Chlorine Dioxide Treatment and Altered Negative Phototaxis Behavio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133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이산화염소는 병원미생물에 대한 소독제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저곡해충에 대한 이산화염소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살충력이 확인되 었다. 그러나 이산화염소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대상 곤충의 체내 분자 종말점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의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가 이산화염소의 분자표적으로 가정하고 노출에 따른 이 효소의 활성을 분석하였다. 아세틸콜린에스 터레이즈 활성은 화랑곡나방 발육 시기에 따라 상이했다. 화랑곡나방 5령 유충에서 치사를 일으킬 수 있는 이산화염소 농도 처리는 아세틸콜린에 스터레이즈 활성을 뚜렷하게 증가시켰다. 또한 훈증제 형태의 이산화염소 처리에서도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 활성 증가가 유발되었다. 화랑곡 나방 5령 유충은 음성주광성을 보이는 데, 이산화염소 처리는 이 선천성 행동을 교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가 이산화염 소 처리에 따른 산화적 스트레스의 분자표적 가운데 하나라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Chlorine dioxide has been used as a disinfectant against microbial pathogens. Recently, its insecticidal activity has been known against stored insect pests by oxidative stress. However, any molecular target of the oxidative stress induced by chlorine dioxide has been not known in insects. This study assessed an enzyme activity of acetylcholinesterase (AChE) as a molecular target of chlorine dioxide in the Indianmeal moth, Plodia interpunctella. AChE activities were varied among developmental stages of P. interpunctella. Injection of chlorine dioxide with lethality-causing doses significantly increased AChE activity of the fifth instar larvae of P. interpunctella. Exposure of the larvae to chlorine dioxide fumigant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AChE activity. The fifth instar larvae of P. interpunctella exhibited a negative phototaxis. However, chlorine dioxide treatment significantly interrupted the innate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hE is one of molecular targets of oxidative stress due to chlorine dioxide in P. interpunctella.

목차
재료 및 방법
결 과
고 찰
사 사 
Literature Cited
저자
  • 김민현(안동대학교 식물의학과) | Minhyun Kim
  • 권혁(고려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과) | Hyeok Kwon
  • 권현식(고려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과) | Hyunsik Kwon
  • 김욱(고려대학교 바이오시스템공학과) | Wook Kim Co-corresponding author
  • 김용균(안동대학교 식물의학과) | Yonggyun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