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배추과 유전자원 종자의 항산화활성 및 바이오활성 화합물 함량 변이 KCI 등재

Vari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Bioactive Compounds Content in Cruciferae See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135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배추과 종자들의 고 함유 바이오 활성 화합물 배추속 및 무속의 유전자원들을 선발 하고, 이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기능성 상품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배추속(양배추, 녹색꽃양배추, 콜라비, 꽃양배추) 및 무속(무) 유전자원 총 92점을 대상으로 라디컬 소거능을 이용한 항 산화활성과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배추속 및 무속 종자들의 항산화활성과 플라 보노이드 함량의 평균간에는 유의차가 있었다. 배추속 변종들간에도 항산화활성,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 이드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있었다.‘Tropic Sun Plus(B8)’양배추 등 총 22점의 배추속 품종 및 계통을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품종 및 계통으로 선발하였고 시판 무종자인‘Taeyang(R43)’과 육성 계통인‘13-FM 136-5×13-FM 138-1(R33)’의 항산화활성이 각각 142% 및 157%으로 실험한 유전자 원들의 종자 중 가장 높았다. 폴리페놀의 함량이 높은 배추속 유전자원은‘Tropic Sun Plus(B8)’양배 추 등 총 10점이였고,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에서 육성한 무 계통인‘13-FH 20-1(R4)’및 ‘13-FH 20-2(R5)’의 폴리페놀 함량이 높았다.‘Megaton(B14)’양배추 등 총 14점의 배추속 품종 및 계통을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은 품종 및 계통으로 선발하였다.‘13-FH 20-2(R5)’무의 플라보노이 드 함량은 1,000mg·100g-1이상으로 플라보노이드 고 함유 종자로 활용가치가 높은 계통이였다. 이상 의 결과로 항산화활성이 높고 바이오 활성 화합물의 함량이 높은 유전자원들을 선발하였고, 유전자원들 을 종자 기능성 가공품으로 활용하여 부가가치를 높히는데 기여할 것이라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aimed to select seeds of Brassica and Raphanus germplasm in terms of superior with bioactive compounds content and to inform sophisticated data for developing the high value-added products. We estimate to aspects of the antioxidant activiy,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seeds from the total 92 cultivars and breeding lines in Brassica(cabbage, brocoli, kohlrabi, and cauliflower) and Raphanus(raddish) germplasm. There are singificant differences between physiological functonalites of Brassica and Raphanus. The antioxidant activity, contents of polyphenol and flavonoid were differed according to variation of Brasscia. ‘Tropic Sun Plus(B8)’ cabbage seeds and other 22 cultivars and breeding lines in Brassica seeds were selected to aspects of superior antioxidant activity.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13-FM 136-5×13-FM 138-1 (R33)’ and ‘Taeyang (R43)’ radish seeds were 142% and 157%, respectively, which were greater than other cutlivars and breeding lines of radish seeds. The polyphenol contents of ‘Tropic Sun Plus(B8)’ cabbage seed and other 10 cultivars and breeding lines’s seeds were the greatest among Brasscia germplasm, while those of ‘13-FH 20-1 (R4)’ and ‘13-FH 20-2 (R5)’ radish seeds were superior than other radish seeds. ‘Megaton(B14)’ cabbage seed and other 14 cultivars and breeding lines in Brassica seeds were represented as the contain high amounts of flavonoid. In addition, the flavonoid content of ‘13-FH 20-2 (R5)’ radish seed showed over 1,000mg·100g-1, which was the greatest among all the tested radish germplasm.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vari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bioactive compounds contents in Cruciferae seeds and the selected cultivars and breeding lines’s seeds can be used to materials for developing high value-added products.

저자
  • 김성겸(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Sung Kyeom Kim
  • 이우문(농촌진흥청 기술협력국 국외농업기술과) | Woo Moon Lee Corresponding author
  • 이상규(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Sang Gyu Lee
  • 이희주(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Hee Ju Lee
  • 최장선(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Chang Sun Choi
  • 박성태(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Sung Tae Park
  • 김수(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Su Kim
  • 박태성(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 Tae Sung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