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Weathering Processes of Tafoni in Mt. Cheonsaeng, Gumi, the Republic of Korea: Interpretation of Water Content Data using GIS Interpolation Analysis
본 연구는 경상북도 구미시 천생산 지역에서 발달하는 타포니를 대상으로 암석의 풍화 과정 및 타포니의 형성 과 정을 분석하고 있다. 연구지역의 타포니 발달은 조립질 퇴적암인 역암과 역질사암에서 발생빈도가 높으며 타포니의 발생 은 역의 이탈 및 박리가 발생한 지점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형적으로 산지의 남사면 암석 노출지에서 타 포니의 집중적 발달이 관찰되는데, 이는 겨울철 기계적 풍화와 여름철 화학적 풍화의 진행이 상대적으로 높은 환경적 조 건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타포니가 발달한 암석 표면에서 측정한 함수율의 분포 특성은 타포니 발생 지점이 주변에 비해 높은 함수율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어 암석 내의 수분은 어떤 기제로든 타포니 발생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타포니 내에서 확인되는 풍화 침전물 및 이차광물에 관한 분석은 후속 연구로 현재 진행 중에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es of rock weathering and tafoni formation targeting tafoni at Mt. Cheonsaeng, Gumi-si, Gyeongsangbuk-do. In the study area, a frequency of tafoni is high in conglomerate and conglomeratic sandstone among regional sedimentary rocks, which means that an initial stage of the formation begins a breakaway of gravel from bedrock and also exfoliation from rock surface. Geomorphologically tafoni have intensively been developed at the southfacing slope with exposed rocks, which means that its formation was favorably controlled by environmental conditions including strong influences of mechanical weathering in winter and chemical weathering in summer times. The results of measuring water content at a tafoni-bearing rock surface using GIS interpolation analysis indicate that moisture rate in/ around tafoni is higher than the periphery. Thus, it is considered that moisture distribution at a rock surface plays a role in its formation. Analysis of percipitation and secondary minerals induced by chemical weathering is in prog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