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해안단구 연구를 위한 10 Be 연대측정법의 적용과 한계점 KCI 등재

Application of 10 Be Dating Technique for Marine Terrace Studies and Its Limitat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158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해안단구와 육상에 남아있는 고해수준에 관한 기록들은 한반도 지반운동의 형태와 속성을 구분해 낼 가장 직접 적인 증거로 사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고위 해안단구들의 형성시기에 관한 절대연대 측정이 현실적으로 어렵 다는 점과 과거 해수면 변동과 지반운동 간의 상대적 변화에 관한 부족한 정보로 인해 명확한 해석과 과학적 논의는 불완전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한반도 고위 해안단구 연구에서 10Be을 대상으로 한 우주선 기원핵종 절대연대 측정법의 실험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실험 결과, 동해안의 강릉시 정동진 일대와 서해안 지역 서천군 비인면 일대에서 채취한 해 발고도 80 m 내외의 고위 해안단구 상의 기반암과 거력 퇴적물의 9 Be/ 10 Be 집적량비와 노출 연대는 상대적으로 매우 낮고 젊은 연대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실험과정에서의 오류 가능성을 포함하여 고위 해안단구의 복잡한 노출 역사를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한반도의 기후환경과 해안단구가 육화된 뒤 겪을 것으로 추정되는 복잡한 노출 환경을 고려할 경우 앞으로 10Be 연대측정기술의 성공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적합한 연구지역의 발굴과 시료채취가 가 장 중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Although Quaternary marine terraces and onshore paleo-shoreline records provide clues to our understanding for the mode and nature of neotectonics in the Korean peninsula, it cannot be accomplished without knowledge on both independent information of the past sea level records and tectonic deformation field together with precise results of numerical dating for higher terraces. This study reported cosmogenic radionuclides ( 10 Be) dating results conducted in higher terraces in the eastern and western coasts of the Korean peninsula. As a result, the measured concentration ratio of 9 Be/ 10 Be and the exposure ages were much younger than expected. It implies that either there is possibility of error in experimental processes or the samples experienced a complex exposure history probably included a burial at some stage. Considering the past climatic condition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nd a possible complex exposure history after the emergence of marine terrace, the discovery of a suitable study area and a sampling site are an essential part of successful 10 Be dating technique.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및 시료 채취 지역
분석 과정 및 결과
전처리 과정
10Be 집적량과 단구면의 노출 연대
10Be 연대측정법의 적용과 한계점
결 론
References
저자
  • 신재열(경북대학교 지리학과) | Jae-Ryul Shi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