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립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재를 가지는 비좌굴가새의 이력특성 KCI 등재

Hysteresis Characteristics of Buckling Restrained Brace with Precast RC Restraining Elem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183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초록

종래 브레이스시스템은 횡력저항 및 층변위제어에 효율적이며 골조물량 감소에 따른 경제성이 향상되어 일반적인 강구조 횡력저 항시스템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압축측에서 항복응력에 도달하기 전 가새의 좌굴이 발생하여 충분한 내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내력열화 형의 이력거동으로 불안정상태가 된다. 좌굴에 의한 내력저하 개선시스템으로 중심재를 구속하여 좌굴방지가 가능한 비좌굴가새는 심재의 항 복 이후에도 안정적인 이력특성을 나타내어 종래 브레이스에 비하여 에너지흡수능력이 우수하다. 최근 10년간 미국, 일본 및 대만에서 매우 다 양한 형상의 비좌굴가새가 제안되었으나, 기존의 실험연구에서는 그 형상이 매우 제한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립형 Precast RC 보강재를 가지는 비좌굴가새를 제작하고 이력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부재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실험결과를 AISC(2005)의 요구조항과 비교하였다.

The conventional brace system is generally accepted as the lateral load resisting system for steel structures due to efficient story drift control and economic feasibility. But lateral stiffness of the structure decreases when buckling happens to the brace in compression, so that it results in unstable structure with unstable hysteresis behavior through strength deterioration. Buckling restrained brace(BRB) system, in which steel core is confined by mortar/concrete-filled tube, represents stable behavior in the post-yield range because the core's buckling is restrained. So, seismic performance of BRB is much better than that of conventional brace system in point of energy absorption capacity, and it is applied the most in high seismicity regions as damper element. BRBs with various shaped-sections have been developed across the globe, but the shapes experimented in Korea are now quite limited. In this study, we considered built-up type of restraining member made up of precast reinforcement concrete and the steel core. we experimented the BRB according to AISC(2005) and evaluated seismic performances and hysteresis characteristics.

목차
1. 서 론
2. 비좌굴가새의 구성요소 및 연구동향
3. 기존연구의 보강재 요구휨강도 제안식
4. AISC(2005) 요구성능 및 표준주기실험절차
5. 실험 개요
6. 실험 결과
7.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신승훈(부산대학교 건축공학과 박사과정) | Seung-Hoon Shin 교신저자
  • 오상훈(부산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공학박사) | Sang-Hoon O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