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시표크기에 따른 동체시력 측정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Measurementof D ynamic Visual Acuity for Visual Acuity Chart Siz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2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동체시력 (Dynamic Visual Acuity) 은 물체나 관찰자가 움직이는 상태에서 사물을 볼 수 있는 능력을 익미한다. 즉, 동체시력은 안구운동계의 전반적인 능률 (efficiency) 과 관계가 깊고, 또한 측정시스템의 구성에 따라 측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시표크기에 따라 동체시력이 차이가 날 수 있다. 본 연구는 일반인 (1 ,Il)군과 운동선수 (IIl, N)군을 각각 두꾼 으로 나누어 란톨트 (Land이t) 고리 시 표크기 를 2.1 cm, 3.71 cm로 탈리하여 동체시력을 측정하였다. 시표크기를 2.1 cm 측정한 결과 일반인(1)군의 평균 동체 시 력 은 85.71 :t 15.05 deg/sec 였으며 , 운동선수( IIl)군은 1oo.63 :t 21.75 deg/sec 였다. 시표크기를 3.7cm로 측정한 결과 일반인(Il)군의 평균동체시력은 136 :t 7.19 deg/sec 였 으며 운동선수군 (N) 은 149 :t 14.20 deg/sec 였다. 일반인군이나 운동선수군에서 같은 정도의 동체시 력 상승이 있으나, 측정 속도로 볼 때 운동선수군이 시표크기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기력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운동선수 의 동제시력을 측정힐 때 시표크기에 유의해야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동체시력 연 구에 관련된 기초 자료로 앞으로 동체시력을 연구하는데 도융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ynamic Visual Acuity(DV A) is rclated efficiency of the entire occulomoter system and measurement system of configuration. Therefor, measurement of DVA is inflenced by visual acuity chart size. The study was DVA compared using sample of nonathletic college student group( 1 ,ll) and athletic college student(base balD group(ill ,N). Subject reported direction of “ Landolt C'’ target (2.1 cm and 3.7 cm in projected size) exhibiting uniform angular motion produccd by rotating mirror projection system. The rcsults showed high correlation as visual acuity chart size. Thc mean of DV A for nonathletic college student group( 1 = 85.71 :t 15.05 deg/sec, II ~ 136 士7.19 deg/sec) and athletic college student(base ba]]) group (ill = 100.63 :t 2 1.퍼 dcg/sec, N τ 149 :t 14.20 deg/sec). Both of them increased same degree. But measurement vclocity from this point of view ’ visual acuity chart size of sensitivity is athletic group was better than nonathletic group.

저자
  • 이명하(서울보건대학 안경광학과) | Meyung-Ha Yi
  • 신정훈(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스포츠과학과) | Jung-Hun S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