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택트렌즈 착용자가 사용한 식염수 오염과 관련된 요인 분석
목적: 500 mL 용량의 식염수가 한국에서는 콘택트렌즈 헹굼에 흔히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콘택트렌즈 착용자가 사용한 대용량 식염수의 미생물 오염과 관련된 위험 요인을 분석하였다.
방법: 120명의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자를 모집하고 식염수를 나누어 준 후 이들이 사용한 식염수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사용한 식염수의 미생물 오염상태는 세균의 집락수 (colony-forming units)로 평가하였고, 세균의 종류는 유전자 중합효소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으로 얻은 DNA 서열을 자동 염기서열분석기 및 BLAST 분석기를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식염수 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카이제곱검정, 상관분석 및 다중회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수집된 식염수 중 45%가 세균에 오염되었으며 7종의 감염성 세균을 포함한 27종의 세균이 검출 되었다. 세균의 오염은 무방부제 식염수, 구멍이 뚫린 용기, 식염수 사용기간 및 렌즈착용 전의 손 세척 습관과 상관성이 있었다.
결론: 방부제가 포함된 식염수는 구멍이 뚫려있지 않은 용기에 적은 용량으로, 무방부제 식염수는 1회용으로 제조되어야 할 것이며, 콘택트렌즈 착용자에게는 관리방법에 대한 재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A 500 mL bottle of saline for contact lens rinsing are often used for contact lens rinsing in Korea that we examined risk factors with microbial contamination in the large volume saline solutions used by soft contact lens wearers. Methods: One hundred twenty subjects who were experienced contact lens wearers were recruited and asked to use and bring their bottles of used saline solution for the experiment. Microbial contamination of the used salines was evaluated as the number of colony-forming units and contaminated bacteria were identified with DNA sequence using PCR and automatic sequencer and BLAST analyzer. Chi-square test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risk factors affecting the contamination of saline. Results: Twenty-seven bacterial species including ocular infectious 7 bacterial species were found in 45% of the collected saline. Bacterial contamination was correlated with unpreserved saline, container with a punctured opening, time period of use and hand washing habits prior to application of the lens. Conclusions: Saline should be manufactured in smaller volume in a non-punctured container with preservatives or in unit-dose for unpreserved saline and additional education about contact lens care and management for the wear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