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원거리 마독스로드 검사에서 눈부심이 프리즘 교정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Glare on Maddox Rod Test for Prism Correction of Lateral Heterophoria at Dista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54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원거리 마독스로드 검사에서 눈부심이 프리즘 교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양안시 기능(조절, 버전스)이 정상인 성인 60명(외사위 35명, 내사위 25명)을 대상으로 마독스로드 검사를 사용하여 광원을 통해 눈부심이 유발된 경우와 유발되지 않은 경우의 원거리 수평사위의 교정 프리즘 굴절력을 측정하였다. 마독스로드 검사는 눈부심을 유발하기 위해 서로 다른 광원의 밝기를 사용하여 밝은 조명 및 어두운 조명에서 실시하였다. 또한 마독스로드 검사 및 수정토링톤 검사를 사용하여 밝은 조명에서 눈부심이 유발되지 않은 광원을 사용한 경우 원거리 수평사위의 교정 프리즘 굴절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외사위 및 내사위의 경우 마독스로드 검사는 밝은 조명(800lux)에서 눈부심이 유발되지 않은 광원(850cd/m2), 어두운 조명(20lux)에서 눈부심이 유발된 광원(850cd/m2), 이전의 동일한 어두운 조명(20lux)에서 눈부심이 유발되지 않은 광원(20cd/m2)을 사용하여 측정된 교정 프리즘 굴절력은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F=12.16, p=0.00),(F=8.03, p=0.00)], 모두 내사위 경향을 보여 주었다. 외사위 및 내사위의 경우 밝은 조명(800lux)에서 눈부심이 유발 되지 않은 광원(850cd/m2)을 사용한 경우 마독스로드 검사와 수정토링톤 검사에서의 원거리 수평사위의 교정 프리즘 굴절력은 각각 -2.07±0.43△, -2.11±0.67△ 및 1.24±0.31△, 1.10±0.36△이었고 통계적으로 서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0.19, p=0.85), (t=1.32, p=0.20)]. 결 론: 마독스로드 검사를 광원 밝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두운 공간에서 실시하는 경우 눈부심이 유발될 수 있다. 그 결과 눈부심은 마독스로드 검사를 통한 원거리 수평 사위 검사에서 피검자에게 일정한 근거리 조절 효과를 유발하고 결과적으로 내사위 경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일상 조명과 유사한 밝은 공간에서 눈부심 유발이 없는 광원을 통해 마독스로드 검사를 실시하는 경우 조절변화에 대한 통제가 상대적으로 쉬울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lare on maddox rod test for prism correction of lateral heterophoria at distance. Method: We measured lateral heterophoria at distance by maddox rod test under glare and non-glare condition in 60 normal subjects who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normal binocular function(accommodation, vergence). Maddox rod test was performed with different light sources under bright- and dark illumination in order to induce glare. Also, we measured prism correction of lateral heterophoria at distance by Maddox rod test and modified thorington test under bright illumination with non-glare induced light source.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respectively in exophoria and esophoria in prism correction of lateral heterophoria at distance by Maddox rod test between under bright illumination(800lux) with non-glare induced light source(850cd/m2) and dark illumination(20lux) with glare induced light source(850cd/m2) and previous equivalent dark illumination(20lux) with non-glare induced light source(20cd/m2)[(F=12.16, p=0.00),(F=8.03, p=0.00)], both of them showed tendency toward to esophoria. When non-glare induced light source(850cd/m2) was used by under bright illumination(800lux) in exophoria and esophoria, prism correction of lateral heterophoria at distance by Maddox rod test and modified thorington test were -2.07±0.43△, -2.11±0.67△ and 1.24±0.31△, 1.10±0.36△ respectively,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ophoria and esophoria respectively[(t=0.19, p=0.85), (t=1.32, p=0.20)]. Conclusion: When Maddox rod test is performed under relatively darker space compared with brightness of light source, it may cause glare. Consequently, it is presumed that glare causes near accommodation in lateral heterophoria measurements at distance by Maddox rod test, so that it leads to tendency toward to esophoria and also when maddox rod test is performed at bright space under similar daily illumination with non-glare induced light source, it is relatively easier to control of accommodation.

저자
  • 김현일(건양대학교 안경광학과) | Hyun-IL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