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안정동위원소 및 Diving-PAM을 이용한 남서해안 만호해역 (진도-해남) 김 양식장에서의 일차 생산력 KCI 등재

An Assessment of Primary Productivity Determined by Stable Isotopes and Diving-PAM in the Pyropia Sea Farms of the Manho (Jindo-Haenam) Region on the Southwe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92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김 양식을 하고 있는 해역의 물리·화학적인 해양환경 특 성, 식물플랑크톤 색소 조성과 농도, 식물플랑크톤 및 방사 무늬김의 일차 생산력을 2014년 3월에 김 양식이 이루어지 고 있는 만호해역에서 조사를 하였다. 수온은 9.1~9.6℃, 염분은 32.5~33.1이었고, 투명도는 높 은 탁도로 인하여 유광층이 낮아져 0.7~1.5 m를 보였다. 수 층의 용존 무기질소, 용존 무기인 및 규산 규소 각각의 농도 는 3.59~5.73 μM, 0.16~0.41 μM, 12.41~13.94 μM이었다. 클로로필 a 농도는 0.51~1.25 μg L-1이었고, 0.7~20 μm 범 위의 nanoplankton의 클로로필 a 농도가 58%를 차지하였다. 규조류의 marker 색소인 fucoxanthin의 농도는 0.51~1.25 μg L-1로서 전 정점에서 높은 값이었고, 20~200 μm 범위의 fucoxanthin이 64%를 차지하였다.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일 차 생산력은 57.72±4.67 (51.05~66.71) mg C m-2 d-1이었고, 0.7~20 μm 범위의 nanoplankton이 76.9%를 차지하였으며, 면적을 고려한 일차 생산력은 11,337 kg C d-1이었다. 방사무 늬김에 의한 평균 일차 생산력은 1,926±192 (1,102~2,597) mg C m-2 d-1이었고, 면적을 고려한 일차 생산력은 39,295 kg C d-1이었다. 식물플랑크톤과 방사무늬김에 의한 일차 생 산력을 토대로 계산된 만호해역의 일차 생산력은 50,632 kg C d-1로 나타났다. 만호해역의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일차 생 산력이 다른 해역보다 낮고, 김의 일차 생산력이 식물플랑크 톤의 일차 생산력보다 약 3.5배 높았다.

The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water column nutrient contents, and phytoplankton primary productivity on pigment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as well as primary productivity of Pyropia yezoensis Ueda purple lavers were studied at the primary cultivation areas in the Manho (Jindo-Haenam) region o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in March 2014. The water temperature was 9.1~9.6°C, salinity was 32.5~33.1, and transparency was 0.7~1.5 m. The shallow euphotic depth resulted from the high turbidity. Water column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DIP), and silicate concentrations were 3.59~5.73 μM, 0.16~0.41 μM, and 12.41~13.94 μM, respectively. Chlorophyll a (Chl a) concentration was 0.51~ 1.25 μg L-1. Nanoplankton (0.7~20 μm size class) accounted for 58% of the total Chl a concentration. Fucoxanthin was the dominant photosynthetic pigment at all sites. Microplankton (20~200 μm size class) accounted for 64% of the total fucoxanthin concentration. The primary productivity of phytoplankton was 57.72±4.67 (51.05~66.71) mg C m-2 d-1. The nanoplankton (0.7~20 μm size class) accounted for 77% of the total phytoplankton primary productivity. The calculated phytoplankton primary productivity was 11,337 kg C d-1. The primary productivity of Pyropia blades was 1,926±192 (1,102~2,597) mg C m-2 d-1, i.e., calculated as 39,295 kg C d-1. The total primary productivity of phytoplankton and Pyropia blades was 50,632 kg C d-1. The primary productivity of Pyropia blades was 3.5 times greater than that of phytoplankton in the Manho region o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 과 
고 찰
적 요 
사 사 
REFERENCES
저자
  • 김정배(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Jeong Bae Kim Corresponding author
  • 이원찬(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Won-Chan Lee
  • 김형철(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Hyung Chul Kim
  • 홍석진(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Sokjin H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