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창 개방형 조간대 표층 퇴적물의 2014년 계절 변화 KCI 등재

Seasonal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in 2014 on the Gochang Open-Coast Intertidal Flat, Southwester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96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고창 개방형 조간대는 황해의 동편, 한국 서남해 연안에 위치하며, 대조차, 개방형 연안, 모래 저질의 특징을 보 인다. 본 연구는 고창 조간대에서 표층 퇴적물의 계절별 퇴적상 변화를 연구하였다. 2014년 2월, 5월, 8월, 11월의 사계 절에 3개 측선을 따라 총 252개 지점에서 표층 퇴적물을 채취하고 분석하였다. 고창 조간대의 2014년 표층 퇴적물은 주로 세립 사질 퇴적물로 구성되며, 계절별로 겨울에 조립하고, 여름에 세립한 경향을 보였다. 연구 지역 인근의 계절별 파랑과 조위 관측 자료에 근거하여, 고창 조간대의 표층 퇴적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파랑이 조석보다 계절의 변화 효과가 큰 것으로 해석되었다. 겨울에 상대적으로 큰 파고의 파랑 영향으로 표층 퇴적물이 조립한 반면, 여름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파고의 파랑 영향으로 세립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고창 조간대의 2014년 퇴적상 공간 분포는 고조대 의 계절별 편차가 저조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고조대 입도가 조립하고 분급이 불량하게 나타났다. 고 조대에서 저조대 방향으로 갈수록 입도가 세립해지고 분급이 양호해지며 계절별 편차가 작아졌다.

The Gochang open-coast intertidal flat is located i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the eastern part of the Yellow Sea), characterized by macro-tidal range, an open-coast type, and sand substrates. This study has investigated seasonal variation in sedimentary facies of surface sediments in the Gochang intertidal flat. In the four seasons of February, May, August, and November, 2014, surface sediments of 252 sites in total were sampled and analyzed along three survey lines. The surface sediments of the Gochang intertidal flat in 2014 consisted mainly of fine-grained sand sediments showing a trend in grain size to be coarser in winter and finer in summer. Based on seasonal wave and tidal level data recorded near the study area, it was interpreted that the seasonal effects of wave were stronger than those of tide as a factor controlling surface sedimentation. High waves in winter resulted in the coarsening trend of grain size in surface sediments, whereas, during summer time, the sediments became finer by relatively low waves. Spatial sedimentary facies of the Gochang intertidal flat in 2014 represented that seasonal deviation of the upper tidal zone was larger than that of the lower tidal zone, hence sediments getting coarser in grain size and poorly sorted in the upper tidal zone. From upper to lower tidal zone, the grain size became finer and sediments were better-sorted, showing smaller seasonal deviations.

목차
서 론
지역 개관
연구 방법
분석 결과
해석 및 토의
결 론 
사 사 
References
저자
  • 강솔잎(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과학교육연구소) | Sol-Ip Kang
  • 양우헌(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과학교육연구소) | Woo-Hun Ryang Corresponding author
  • 진재화(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유해저자원연구부) | Jae-Hwa Jin
  • 전승수(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Seung-Soo Ch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