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연료전지용 술폰화 폴리아릴렌에테르술폰 랜덤공중합체 강화복합막의 제조 및 특성 KCI 등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ulfonated Poly(Arylene Ether Sulfone) Random Copolymer Reinforced Membranes for Fuel Cell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415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술폰화 폴리아릴렌에테르술폰(SPAES) 랜덤 공중합체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에 적용될 때 높은 수소이온전도 도, 상대적으로 낮은 생산 단가 그리고 열화학적 저항성등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반면, SPAES 공중합체는 가혹한 구동 조건 하에서 낮은 화학적 안정성과 치수 불안전성으로 인해 실제 연료전지 막에 직접적으로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에 타당 한 해결책은 SPAES 공중합체를 상호 연결된 기공 구조와 높은 열화학적 강도를 가지는 지지체 필름(예 : 전기방사된 폴리이 미드 지지체)에 함침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함침막 제조를 위한 이오노머로 빠른 이온 수송을 위해 높은 자유 체적을 유도하는 회전 그룹을 갖는 SPAES 공중합체를 선택하였다. 제작된 막의 실용가능성은 막 특성화를 통해 평가되었다.

Sulfonated poly (arylene ether sulfone) (SPAES) random copolymers have merits such as high proton conductivity, relatively low production cost, and thermochemical resistance when applied as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for fuel cells. However, it is difficult to directly employ SPAES copolymers into practical fuel cell membrane applications owing to their low chemical stability and dimensional instability under harsh operation conditions. A plausible solution is to impregnate SPAES copolymers into support films (e.g., electrospun polyimide support) with interconnected pore structures and high thermochemical toughness. In this study, a SPAES copolymer with a swivel group, which induces high free volume for fast ion transport, is chosen as ionomers to prepare pore-filling membranes (PFMs). The feasibility of the resulting membranes is evaluated via membrane characterizations.

저자
  • 안주희(단국대학교 융합기술대학 에너지공학과) | Juhee Ahn
  • 이창현(단국대학교 융합기술대학 에너지공학과) | Chang Hyun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