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포항시 남부 현무암체의 단층점토에서 산출되는 Fe-세피올라이트 KCI 등재

Fe-rich Sepiolite from the Basalt Fault Gouge in the South of Pohang,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436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경북 포항시 남구 동해면 금광리 일대의 전기 마이오세 현무암층 내에 단층파쇄대의 중심에 약 5-10 cm의 폭을 가진 흑색의 단층점토가 길게 연장되어 나타났다. 이 단층점토에 대해 XRD, FTIR, DTA/TGA, SEM, TEM, XRF, EPMA 등으로 자세히 분석한 결과, Fe 성분을 다량 함유하는 Fe-세피 올라이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외에 단층파쇄대의 변질광물은 주로 스멕타이트인 것으로 나타났 으며, 신선한 모암인 현무암에도 스멕타이트가 상당량 포함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구성광물의 산상으 로 보아, Fe-세피올라이트는 현무암의 고화 형성 후에 다소 깊은 곳에서 단층작용과 함께 열수변질작 용이 관여하여 형성된 것으로 사료된다.

The black fault gouge having 5-10 cm width occurs at the center of the fault fracture zone developed at the early Miocene basaltic rocks that is located at the Geumkwang-ri area in Donghae-myeon, Pohang city. The fault gouge was analyzed with XRD, FTIR, DTA/TGA, SEM, TEM, XRF, EPMA. Analyses reveal that the fault gouge is Fe-rich sepiolite having high iron content. Alteration minerals observed in the fault fracture zone are mainly smectite. The significant amount of smectite also observed in the basaltic parent rocks. The occurrence of constituent minerals indicates that the Fe-rich sepiolite was crystallized by faulting and hydrothermal alteration after the consolidation of basaltic rock at the deep place.

목차
서 언
연구방법
지질 및 산출상태
X-선 회절분석
전자현미경 관찰
화학성분 분석
적외선분광분석
시차열중량분석
결 언
사 사
REFERENCES
저자
  • 손병서(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Byeongseo Son
  • 황진연(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Jinyeon Hwang Corresponding author
  • 이진현(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Jinhyun Lee
  • 오지호(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Jiho Oh
  • 손문(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Moon Son
  • 김광희(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Kwanghee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