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숲의 종류에 따른 이미지 및 치유지각효과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Image and Healing Perception Effect according to the Forest Types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468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숲의 종류별로 숲의 이미지와 만족도 및 신체적․정서적 측면의 치유지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한 것이다. 숲의 종류는 편백나무숲, 졸참나무숲, 소나무숲으로 분류하였으며 단일 임상으로 이루어진 대상지를 선정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평가는 각 숲별로 60명의 피험자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평균연령 68.6세이다. 편백나무숲은 쾌적하고 편안하며 친밀한 이미지, 졸참나무숲은 평범하면서도 안정된 개방적인 이미지, 소나무숲은 아 름답고 쾌적하며 자연스러운 이미지로 평가되었으며 숲의 이미지구조는 정연성, 어메니티, 공간특이성, 정감성 인자로 구분된다. 숲의 만족도는 졸참나무숲이 높게 평가되었다. 편백나무숲은 정연성 인자가, 졸참나무숲은 정연성 및 공간특 이성인자가, 소나무숲은 어메니티 인자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모든 숲에서 피험자들은 신체적 ․정서적 측면에서 개선이 되었다는 치유효과를 지각하고 있으며 특히 정서적 측면에서 치유지각의 효과가 높다. 신체적 치유지각은 숲 종류별로 차이가 없었으나 정서적 측면에서는 소나무숲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졸참나무숲, 편백나무숲 순으로 숲 종 류 상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숲 만족도와 정서적 측면의 치유효과 사이에는 정적인 상관 관계가 있었다.

This study was analyzed the image and satisfaction degree of forests and their healing perception effect in both physical and emotional aspects according to the type of forest. The type of forests in this study included Chamaecyparis obtusa forest, Quercus serrata forest and Pinus densiflora forest, and the selection areas with a single forest physignomy were selected and evaluated. The evaluation was performed by 60 subjects at each forest. Chamaecyparis obtusa forest was evaluated to have a pleasant, comfortable and friendly image, Quercus serrata forest was estimated to have a plain but stable and open image, and Pinus densiflora forest was evaluated to have a beautiful, pleasant and natural image. The image structure of forest is classified into factors including orderliness, amenity, singularity and emotion. For the satisfaction level of forest, Quercus serrata forest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level. The satisfaction level regarding the Chamaecyparis obtusa forest, Quercus serrata forest, and Pinus densiflora forest was influenced by orderliness, orderliness and singularity and amenity respectively. In all forests, the subject perceived the healing effect of improvement in physical and emotional aspects, and especially, the perception on the healing effect in an emotional aspect was high. The satisfaction level regarding the forest and the perception of the healing effect in an emotional aspect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저자
  • Nara Jeong(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DA) | 정나라 Corresponding author
  • Deugsoo Ahn(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안득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