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통일신라시대 동궁과 월지의 입수부에 대한 수경디자인 수법 KCI 등재

Design Technique of a Waterscape in a Water Intake Zone of Donggung and Wolji, a Palace Garden from the Period of Unified Silla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468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동궁과 월지는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넓은 수면의 원지를 중심으로 한 궁원으로 추정된다. 원지는 입수부, 연못, 출수 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입수부는 독자적인 특징을 보이는 수경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월지 입수부의 수경에 대한 디자인수법을 밝힘으로써 통일신라시대의 궁원을 이해하고 원지조영에 대한 작법의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동궁과 월지에 대한 발굴조사 성과를 바탕으로 발굴조사의 내용과 복원된 수경시설에 대한 조사와 분석 을 통하여 입수부에 대한 수경 디자인수법을 도출한다. 원지의 입수부는 직선형수로, 석조, 소지, 계류형수로, 폭포로 구성되어 다채로운 수경을 연출하고 있는데 각각의 디 자인 수법은 다음과 같다. 기하학적인 인공형태의 직선형수로는 수로의 초입부에서 직각으로 수류방향을 바꾸는 굴절점 을 세 차례 반복하는 선형을 보이는데 이는 건축물의 축선을 따른 것으로 건축물의 세력권에 영향을 받은 형태의 디자인 수법으로 볼 수 있다. 상하로 연결된 2단 석조는 물을 담은 큰 그릇으로써의 이용을 고려한 것으로 상하의 단차에 의한 물의 약동은 시각 및 청각적인 효과를 위한 디자인수법이다. 또한 석조 주위의 판석과 외연벽석으로 형성된 한정된 공간 은 가장 가까이에서 물을 접할 수 있는 친수공간으로 디자인된 수경공간이다. 완만한 곡선의 타원형에 가까운 형태의 소지는 호안의 축조와 바닥처리 및 경석의 배치에 있어서 독자적인 디자인 수법을 보이며, 기능적으로는 폭포수의 일정 한 수량공급을 위한 저수지의 역할을 한다.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계류형 수로는 직선형 수로와 대비되는 디자 인으로 호안을 축조하는 방식에서 최대한 자연스럽게 보이기 위한 수법을 보여준다. 입수부의 마지막 단계로서 극단적 인 시각적 변화를 보여주는 폭포는 수로와 원지의 단차를 해결하는 디자인수법으로 사용되었으며, 위치설정에 있어서 완전노출을 피하여 흥미를 유발시키는 고차원의 수법이 적용되었다. 다섯 단계로 구성된 다채로운 입수부의 수경시설은 근접한 건축물의 영향을 받는 직선형의 인공적 디자인의 수경수법 에서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그 영향에서 벗어나 자연스러움을 보여주는 디자인의 발전단계를 보여주는 수경시설의 디자 인수법을 보여주고 있다.

Donggung and Wolji is a palace garden around a wide, round pond built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great pond comprises a water intake zone, a pond, and an outflow zone. In particular, the water intake zone comprises waterscape facilities with unique features. By identifying the design techniques of the waterscape in a water intake zone of Wolji,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basis for the waterscape techniques used around the pond and to describe the palace garden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design technique for a waterscape in the water intake zone was identified through analysis of the restored waterscape facilities and through the investigation results of the excavation in Donggung and Wolji. The water intake zone in the great pond area presents a variety of waterscapes: straight channel, stone basin, small pond, streamy channel, and falls. The straight channel in the artificial geometric form has a linear configuration with three inflection points, where the channel is diverted at a right angle from the starting point. This design follows the axis of the architecture and can be considered a design technique that uses a form affected by the scope of influence of the architecture. The two-step stone basin connecting the upper step and the lower step can be described as a large bowl containing water. The dynamics of water falling from one step to the other is a technique to provide visual and audio effects. The limited space between the flagstone and the external wall around the stone basin forms a waterscape designed as a water-friendly space that gives people easy and direct access to water. The small pond, which has a nearly oval shape with smooth, curved lines, reflects unique design techniques in the revetment construction, bottom treatment, and pumice stone arrangement. It works as a reservoir, supplying a certain amount of water to the falls in the functional aspects of the waterscape. The streamy channel, presenting the natural landscape, illustrates the technique of making the most natural appearance possible in the revetment construction, as the design contrasts with the straight channel. The falls, showing an extreme visual change at the endpoint of the water intake zone, are a design technique that solves the problem of the difference in elevation between the channel and great pond. The falls use a high-level technique in that the location was chosen to avoid complete visibility, thus inducing interest. The variety of waterscape facilities in a water intake zone comprising five stages reveals a design technique that starts from an artificial straight design influenced by neighboring architecture and pursues a natural appearance by gradually moving away from this influence as the design advances.

저자
  • Jisoung Baik(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백지성 Corresponding author
  • Seohee An(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안서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