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ort Landscape Potential Evaluation Indexes KCI 등재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469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항만 고유의 기능 및 특성과 지역의 정체성을 접목하여, 그 가치를 평가 할 수 있는 항만 경관 잠재력 평가지표 도출 및 중요도 분석을 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첫째, 항만 경관 잠재력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선행 연구 및 문헌분석 후 하위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둘째,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객관적으로 평가 할 수 있는 상위지 표 기준을 도출 하여 상위 평가지표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그 평가지표를 기준으로 계층 모형을 구축하여 항만관련 분야 의 공무원(해양경찰), 공기업(항만공사), 설계기관(엔지니어링), 학계(교수, 연구원)의 전문가 집단 70명을 대상으로 평가 지표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분석 방법으로는 응답자 속성을 알기 위해 SPSS 20.0.ver을 활용하여 빈도분 석을 실시하였으며, 항만의 경관 잠재력 평가지표를 도출하여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알기 위해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분석에서 보편적으로 쓰이는 Expert Choice 11.5.ver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항만 경관 잠재력 상위 평가지표 4개(항만의 기능, 항만의 경관자원, 파급효과, 지속가능) 와 하위지표 12개(항만의 규모, 항만의 접근성, 항만의 이용실적, 자연자원, 인문자원, 시점자원, 랜드마크자원, 항만의 시설자원, 배 후 세력권, 홍보 기회, 지자체 역량, 수요예측)를 도출하였다. 둘째, 상위지표는 항만의 기능과 항만의 경관자원이 상대적 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하위지표는 항만의 기능은 항만의 접근성이, 항만의 경관자원은 자연자원이, 파급효과는 배후 세력권이, 지속 가능은 지자체 역량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종합 중요도 및 우선순위 분석 결과 항만의 접근 성, 자연자원, 배후 세력권, 랜드마크 자원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항만 고유의 정체성을 반영한 항만 경관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combined the uniqu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ports in our country with local identity, and derived port landscape potential evaluation indexes to appnaise the importance of the inherent characteristicsand natural landscape.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first, preceding researches and literatures were examined to develop port landscape potential evaluation indexes, and then low evaluation indexes were derived. Second, through interviews with professionals, high level evaluation indexes were selected after deriving high level index criteria needed for objective evaluation. Based on the evaluation indexes, a hierarchy model was established, and a survey regarding evaluation indexes was performed targeting civil servants (maritime police), public enterprise (Port Authority), designing institutes (engineering), and 70 researchers and professors (academic world). For the survey,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SPSS 20.0.ver, and Expert Choice 11.5.ver, which is normally used for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alysis, and it was used to learn the importance and priority after deriving port landscape potential evaluation index. The study results are as below.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mportance, it has been shown that 4 high level indexes (port functions, port landscape resources, Ripple Effects, and s ustainability) and 12 low level indexes (port size, port accessibility, port use results, natural resources, cultural resources, viewpoint resources, landmark resources, port facility resources, background sphere of influence, promotion opportunity, competence of local government, demand predic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low level indexes, port accessibility of port functions, natural resources of port landscape resources, background sphere of influence of ripple effects, and competence of local government of sustainability turned out to have high importanc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mprehensive importance and priority, port accessibility, natural resources, background sphere of influence, and landmark resources turned out to have relatively high importance and priorit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mprehensive importance and priority, port accessibility, natural resources, background sphere of influence, and landmark resources turned out to have relatively high importance and priority From this point,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is recommended to build a port plan reflecting on its unique identity.

저자
  • Taeyeol Jung(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정태열
  • Kummi Park(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박금미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