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생태경관에 대한 감상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경설계언어 KCI 등재

Design Languages to Improve the Appreciation of Ecological Landscapes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469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산업화 시대 이후 공간설계에 있어서 생태적 접근은 지속적으로 주목 받아왔다. 옥외환경디자인의 영역, 특히 조경설 계에 있어서 생태적 설계는 크게 두 가지의 흐름으로 나뉜다고 볼 수 있다. 첫째는 기술적인 측면의 생태설계로서 설계 행위를 통하여 환경의 생태적 건강성을 향상시키는데 집중하는 것을 강조하는 분야이며 둘째는 생태적인 공간을 사회문 화적으로 이해하고 어떻게 대중에게 그 공간의 생태적 가치를 설계라는 매개를 통해 전달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분야이 다. 본 연구에서는 후자의 관점에서 조경설계가 공간의 어떤 주제를 어떠한 방법으로 다룰 때 생태적 의미가 더 효과적 으로 전달될 것인가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따라서 생태적 조경설계의 여섯 가지 대상을 요약 및 분석하고 그에 따른 설계언어 여섯 가지를 제안하여 논증하였다. 설계주제로는 생태적 기능, 경관의 일시성, 역사성, 시각적 흥미, 안전성, 접근성을 요약하였고 설계언어는 구체적으로 설명, 상징, 대비, 틀, 다양화, 그리고 거리두기를 제안하고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의미는 산재되어 있는 설계언어를 종합하여 구체적이고 실질적으로 어떻게 생태설계에 응용될 수 있는가에 대하여 제안하고 각 설계언어에 대한 실증적 연구에 기초를 마련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The ecological approach to environmental design has drawn attention since almost the very beginning of the industrial era. Especially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this approach can be categorized into two sub - approaches, each reflecting meaning of the terms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The first one focuses on technically achieving ecological health in the environment, and is more often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ecological approach; the second one asserts that the designed environment should be more culturally as well as socially appealing, and even informative to the public in the use and representation of its own aesthetic languages.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academic endeavor aimed at putting together and operationalizing design languages, about how to compose and arrange design elements, for actual landscape design practice.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reexamine the overall topography of discussions on design languages by means of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nd to map out some design subjects and appropriate languages for responding to them, for the benefit of the practice of landscape architecture. To achieve the latter goal, this research defines six landscape design subjects to be dealt with and suggests six design languages to be considered when actually designing landscapes in relation to each of these subjects. The design subjects are ecological functions, temporality, history of place, visual interest, sense of security, and accessibility; and the design languages are articulating, symbolizing, contrasting, framing, diversifying, and distancing.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it revamps and encapsulates the topic of design subjects, which have become much too spread out to understand, and suggests more practical and more applicable design languages to practitioners.

저자
  • Byoungwook Min(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hee University) | 민병욱
  • Jin-Oh Kim(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hee University) | 김진오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