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Prediction of Axial Length Using Schematic Eyes in Emmetropia KCI 등재

정시안에서 모형안을 이용한 안축길이의 예측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482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여러 모형안을 이용하여 굴절이상도와 각막곡률반경으로부터 안축길이를 예측할 수 있는 계산식 을 유도하고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안질환 및 안과적 수술 과거력이 없는 정시안 101명(174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나이는 54.62±9.11세였다. Gullstrand의 정식 모형안, Gullstrand의 약식 모형안, Gullstrand-Emsley의 약식 모 형안, Le Grand의 이론적 모형안, Bennett와 Rabbetts의 약식 모형안을 이용하여 안축길이를 예측하는 계 산식을 유도하였다. 각각의 계산식에 자동굴절력계로 측정한 굴절이상도, 각막곡률반경을 적용하여 안축길 이를 예측하였고, IOL-Master로 실측한 안축길이와 비교하여 일치도를 평가하였다.
결 과: 측정된 안축길이와 계산된 안축길이 사이의 차이는 Gullstrand의 약식 모형안, Gullstrand- Emsley의 약식 모형안, Bennett와 Rabbetts의 약식 모형안, Le Grand의 이론적 모형안, Gullstrand의 정 식 모형안 순으로 적었으며, Gullstrand의 약식 모형안으로 계산된 안축길이만이 측정된 안축길이와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309). 그 중에서도 Gullstrand의 약식 모형안이 일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정시안에서 굴절이상도와 각막곡률반경을 기반으로 한 안축길이의 예측은 Gullstrand의 약식 모 형안이 더 정확하였다. 따라서 계산식을 이용한 정확한 안축길이의 예측은 개인별 안경렌즈 설계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rive formulas and evaluate their usefulness to predict axial length (AL) on the basis of refractive error and corneal radius using schematic eyes.
Methods: This study comprised 101 emmetropic subjects (174 eyes) with a mean age of 54.62±9.11 years. All subjects were free of any ocular disease and had no history of ocular surgery or trauma. Formulas for calculation of ALs were obtained using Gullstrand’s exact schematic eye, Gullstrand’s simplified schematic eye, Gullstrand-Emsley’s schematic eye, Le Grand’s schematic eye, and Bennett and Rabbetts’schematic eye, respectively. ALs were predicted by each formula with measured refractive error and corneal radius by auto-refractometer. The calculated ALs were compared with measured ALs by IOL-master, and the agreement between ALs were evaluated.
Results: The difference between measured AL and calculated AL was small in the order of Gullstrand’s simplified schematic eye, Gullstrand-Emsley’s schematic eye, Bennett and Rabbetts’ schematic eye, Le Grand’s schematic eye, and Gullstrand’s exact schematic eye. Gullstrand’s simplified schematic eye onl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390), there was high agreement between two ALs in Gullstrand’s simplified schematic eye. Conclusions: Axial length can be more accurately predicted by formula for calculation based on refractive error and corneal radius using Gullstrand’s simplified schematic eye in emmetropia. Therefore, the accuracy prediction of axial length using a formula could be applied to design of individual spectacle lenses.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저자
  • Hyeong-Su Kim(강원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형수
  • Hyun-Gug Cho(강원대학교 안경광학과) | 조현국
  • Byeong-Yeon Moon(강원대학교 안경광학과) | 문병연
  • Dong-Sik Yu(강원대학교 안경광학과) | 유동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