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인간의 감정과 미디어 장르 사이의 선호도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preference between emotion of human and media genre in Smart Devi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543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지금까지 멀티미디어 기기들의 대 부분의 콘텐츠 접근성은 사용자 중심으로 특화되어 있지 않고 제작자의 의 도에 집중 하였다. 이런 이유에서 실제 시스템을 사용하면서 생기는 문제점과 이용자의 요구를 분석하기란 쉽지 않다. 물론 일부에서는 사용자 중심에서 UT, UI 연구를 진행 해 오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일부 많은 혁신을 가 져오지만 아직 기대만큼 많은 효과를 거두지는 못하고 있다. 이유는 개별적인 인간 본연의 욕구와 정서를 해석 하고 적용하기란 쉽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인간 본연의 심리적인 특성을 분석하고 이해하려고 노력하였으며 스마트 디바이스 의 접근성의 문제점은 단순히 기술, 기능을 향상 시키는 것 이 아니라 인간의 본연의 내면을 얼마만큼 분석 하는지 와 얼마만큼 이해하는지에 따라 사용성에 도움이 될 것 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사용자가 중심에서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좀 더 나은 접 근성에 도움 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특히 인간의 내면의 감정과 성향에 따라서 어떤 장르의 콘텐츠를 선호 하며 소비하는지를 분석하고 인간과 콘텐츠의 상호작용을 집중적으로 연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감정과 콘텐츠 사이의 관계에서 일부 유효한 결과는 기쁜(HAPPY) 감정의 정도에 따라 더욱 더COMEDY 프로그램을 선 호함을 알 수 있었으며 남자가 여자 보다 더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슬픈 감정(SAD)일 때는 유효 한 결과 값은 나오지 않았지만 흥겨운 콘텐츠를 미미하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자 보다 남자가 좀 더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원인은 Zilinman의mood based management 이론인 슬픈 감정의 소유자는 그 감정을 감쇠하기 위해서 흥겨운 콘텐츠를 더 선호하며 추가적으로 Oliver 2009따르면 콘텐츠의 쾌락적인 요소 보다는 통찰(insight), 의미(meaningfulness), 이해(understanding)및 반응(reflection)에 모두 충족이 되어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제안한다. 이러한 사용자 감정과 성향에 따른 콘텐츠의 연구는 향후 새로운 스마트 디바이스 콘 텐츠 접근성 측면에서 좀 더 만족도와 방향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To date, contents’ usability of most multimedia devices has been focused on developer not on user, which made difficult in solving the problems or fulfilling the needs while people using real system. Although user-centered UX and UI researches have been studied and have resulted in innovation in some part, it does not show great effect on usability as it is not easy to interpret human emotions and needs and to apply those to system. Usability is the matter on how deeply smart devices can interpret and analyze human mind not on how much functions and technologies are improved. This study aims to help with usability improvement based on user when people use smart devices in multimedia environment. We studied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contents by analyzing the effect of human emotions and personalities on preference and consumption of contents’ type. This study was done by assuming that proper analysis on human emotions may increase user satisfaction on multimedia environment. We analyzed contents preference by gender and emo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Happy’ emotion and ‘Comedy Program’ preference and men are more prefer it than women. However, it does not reveal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ad’ emotion and contents preferences but women are slightly more prefer ‘Comedy Program’ than men. This result supports the Zillmann’s ‘mood based management’, which suggests that the needs for pleasant contents are revealed to relieve sadness when people are in a sad mood. In addition, our finding corresponds with Oliver’s insistence on meeting all four factors, insight, meaningfulness, understanding and reflection, rather than just pleasure for more satisfaction. This study focused on temporary emotional factors and contents and additionally on effect of users’ emotion, personality and preference on type of contents consumption. This relationship between emotions and contents study would suggest the better direction for developing smart devices with great contents usability and user satisfaction in the future.

목차
1. 서 론
  1.1 연구목적
  1.2 미디어 콘텐츠 심리학적 측면
  1.3 기분관리와 기분조절
  1.4 사용자 개별 감정에 따른 콘텐츠 선호도분석절차
 2. 연구 가설
 3. 실험 방법론
 4. 감정과 콘텐츠상관 관계 실험결과
  4.1 이용자 별 감정 인식 분석 결과
  4.2 스마트 TV 환경의 경험도
  4.3 스마트 TV 경험적 친밀도
  4.4 감정과 콘텐츠의 상관관계 분석
  4.5 콘텐츠의 선호도의 분석
 5.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저자
  • 이종식(성균관대학교 인터렉션 사이언스학과) | Jong-Sik Lee
  • 신동희(성균관대학교 인터렉션 사이언스학과) | Dong-Hee Sh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