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경험적 모드 분해를 이용한 시각자극 관련 과제수행에 대한 KCI 등재

Amplitude and phase analysis of the brain Evoked Potential about performing a task related to visual stimulus using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543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논문에서는 경험적 모드 분해 방법을 이용하여 시각자극 출현에 따른 과제 수행 시 발생하는 뇌 유발전위의 θ와 α 대역에 대한 진폭과 위상변화를 확인하였다. 과제수행에 대한 뇌 유발전위를 구성 주파수 대역 별로 분 해하기 위하여 경험적 모드 분해 방법을 적용하였고, 분해된 각 내재모드함수에 힐버트 변환을 적용하여 뇌 유발전위의 θ와 α 대역의 순간 진폭과 위상 변화를 확인하였다. 과제 수행 시 뇌 유발전위의 P2, N2과 P3지점에서 θ와 α 대역의 진폭이 크게 관찰되었으며, N1, P2부근에서 순간 위상의 변화가 최대가 되었다. 시각 자극 출현에 따른 응시 상태에서는 두 대역 모두 관련된 위상 변화시점이 확인되지 않았다. 대역통과필터 방법 적용 시, 경험적 모드 분해 방법에 비해 시간과 주파수 해상도가 떨어졌으며, 필터의 파라미터에 따라 위상 변화 시점의 결과 에 차이가 발생하였다. 연구를 통해 θ와 α 대역이 시각 자극 출현에 따른 과제 수행에 대한 뇌 유발전위의 주요 성분인 θ와 α 대역의 위상변화와 뇌 유발전위의 생성을 위상 변화와 연관 지어 해석하였다.

In this paper, amplitude and phase difference patterns for theta and alpha bands of the Evoked Potential(EP) in relation to perform a task at visual stimulus were analyzed using the Empirical mode decomposition(EMD). The EMD is applied to decompose EP signals with task-related sub-frequency band signals. Intrinsic mode function was implied in Hilbert transform and instantaneous amplitude and phase differences of theta and alpha were derived from Hilbert transformed EP. In a task status, large amplitude for both bands was observed at P2, N2, and P3 points as well as maximum phase difference was observed at N1 and P2. We confirmed that both bands are associated with a task at visual stimulus, and less associated with fixation. The proposed method enhances the time and frequency resolution in comparison with band-pass filter method which observed different phase results according to conditions.

목차
1. 서론
 2. 방법
  2.1 실험 방법
  2.2 분석 방법
 3. 결과
  3.1. 과제 수행/응시에 따른 뇌 유발전위 비교
  3.2. 과제 수행/응시에 따른 진폭 특성
  3.3. 과제 수행/응시에 따른 위상변화 비교
  3.4. 경험적 모드 분해와 대역통과필터의진폭, 위상변화 비교
 4.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저자
  • 이벽진(연세대학교 생체공학협동과정) | ByuckJin Lee
  • 유선국(연세대학교 의학공학교실) | Sun-Kook Y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