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기억에 대한 오정보의 영향: 숨긴정보검사를 이용한 원기억의 탐지 KCI 등재

The influence of misinformation on memory: detection of original memory using concealed information test (CI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543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오정보가 제시된 경우, 원기억의 존재여부를 사건관련전위 기반 숨긴정보검사 (Event-Related Potential based Concealed Information test: ERP-based CIT)를 사용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오정보 제시 여부를 조 작하여 두 가지 실험 조건을 구성한 후 각 조건의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뇌파를 측정하여 P300 진폭, 면적 및 잠 재기와 반응시간을 분석하였다. 조건별 피험자 수는 각 20명이었고, Cz, Pz와 Oz영역에서 뇌파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Cz, Pz와 Oz영역의 P300 면적에 대한 분석에서 오정보 제시여부와 자극 종류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오정보 조건에서의 P300 진폭에 대한 분석 결과 Pz영역에서 오 정보에 대한 P300 진폭과 무관련 정보에 대한 P300 진폭은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나, 원정보에 대한 P300 진폭은 오정보 또는 무관련 정보에 대한 P300 진폭과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원기억이 오정 보에 대한 기억과 함께 존재할 가능성과 원기억이 부분적으로 손상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논의에서는 분석 결과에 대한 세부적인 해석, 본 연구의 단점 및 보완할 수 있는 가능한 방법과 향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if the original memory remains after a misinformation is presented, using Event- Related Potential based Concealed Information Test (ERP-based CIT). In the first stage of the study, the participant was presented with either the original information or a misleading information after experiencing an event (Post-information). The second stage was to measure brain wave and reaction time on the original, misleading, and irrelevant information (CIT-Stimulus). P300 amplitude, P300 area, P300 latency, and reaction time were used as dependant variables. In the result, a significant Post-information ⨯CIT-Stimulus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on the P300 area measured at Cz, Pz, and Oz area. This interaction effect implied the possibility that the original information could be partially impaired in memory by misleading information presented afterward. P300 amplitude at Pz area did not differ between the accurate and the misleading stimuli in the condition in which a misleading information was presented. This result can be explained by source monitoring error. In discuss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of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2. 오정보 효과
  2.1. 단일 기억흔적 (single trace) 이론
  2.2. 다중 기억흔적 (multiple trace) 이론
  2.3. 외부 요인 이론
 3. 숨긴정보검사
 4. 가설
 5. 방법
  5.1. 참가자
  5.2. 절차
  5.3. 뇌파 기록
  5.4. 자료분석
 6. 결과
  6.1. 각 실험 조건에서의 전극 위치별 ERP
  6.2. 각 실험 조건의 자극 종류에 따른 P300
 7. 논의
  7.1. 제한점 및 제언
  7.2. 결론
 REFERENCES
저자
  • 한유화(한유화)
  • 박광배(충북대학교 심리학과) | Kwangbai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