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기방사 방법을 이용한 천연 다당류 나노섬유 제조 및 특성 연구 KCI 등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saccharide-based Nanofiber Using Electrospinning Metho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651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전기방사를 위하여 알지네이트와 키토산을 이용하여 알지네이트/poly(ethylene oxide)(PEO)와 키 토산/PEO 용액을 준비하였다. 준비된 용액을 10 mL 플라스틱 주사기에 넣고 금속 노즐에 높은 전압을 공급하였다. 키토산과 알지네이트 용액은 고분자 농도, 온도, 상대습도, 인가전압, 노즐과의 거리, 그리고 용액 속도에 의해 컨트롤되었다. 제조된 나노섬유막은 전자주사현미경을 이용하여 모폴로지를 관찰하였다. 알지네이트 전기방사를 위한 나노 섬유막의 최적화된 조건 은 2 wt% 알지네이트, 2 wt% PEO, 60°C, 노즐과의 거리 15 cm, 20~24 kV, 8 μm/min이었으며, 키토산 섬유막의 최적화 조 건은 2 wt% 키토산, 2 wt% PEO, 25°C, 노즐과의 거리 15 cm, 24 kV, 8 μm/min이었다. 복합 나노섬유 제조조건은 노즐과의 거리 20 cm, 8 μm/min, 26 kV이었다.

In this study, alginate/poly(ethylene oxide) (PEO), and chitosan/PEO solution are prepared by dissolving alginate and chitosan into specific solvent for electrospinning. Solutions are poured into 10 mL plastic syringes with a metal nozzle supplied a high voltage power. The solution of alginate and chitosan is controlled by polymer concentration,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pplied voltage, distance from nozzle and flow rate of solution. Morphologies of fabricated nanofiber are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Optimal conditions for electrospinning of alginate nanofiber membrane are 2 wt% of alginate, 2 wt% of PEO at 60°C, 15 cm from the nozzle, 8 μm/min flow rate and 20~24 kV. The conditions for elctrospinning of chitosan nanofiber membrane are 2 wt% of chitosan, 2 wt% PEO at 25°C , 15 cm from the nozzle, 8 μm/min flow rate and 24 kV. The fabrication conditions of complex nanofiber prepared with chitosan and alginate are 20 cm from the nozzle, 8 μm/min flow rate and 26 kV.

목차
1. 서 론
 2. 실 험
  2.1. 재료
  2.2. 전기방사 장치
  2.3. 알지네이트 나노 섬유 제조
  2.4. 키토산 나노 섬유 제조
  2.5. 복합화된 나노 섬유 제조
  2.6. 모폴로지 분석
  2.7. 점도 측정
 3. 결과 및 고찰
  3.1. 방사 조건에 따른 알지네이트/PEO 나노 섬유 특성
  3.2. 방사 조건에 따른 키토산/PEO 나노 섬유 특성
  3.3. Complex된 알지네이트와 키토산 나노 섬유 특성
 4. 결 론
 Reference
저자
  • 김세종(경상대학교 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 Se Jong Kim
  • 이수정(경상대학교 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 Su Jeong Lee
  • 우창화(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 Chang Hwa Woo
  • 남상용(경상대학교 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공학연구원) | Sang Yong Na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