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왕자귀나무군락의 식생구조 및 입지환경 특성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Location Environment of the Albizzia kalkora Commun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654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목포 유달산을 중심으로 한 인근 도서에 분포하는 왕자귀나무군락의 식생구조 및 입지환경 특성을 밝히고 자 실시되었다. 목포 유달산의 왕자귀나무군락(군락Ⅰ)은 상대적으로 해발고가 높은 곳에 위치했고, 주요 수종의 수령 은 30년 정도였다. 이 군락은 지속적인 교란으로 식생발달 초기단계의 식생구조를 보였다. 바닷가 인근 평지의 모래토양 에 형성된 군락 Ⅳ는 주요 수종의 수령이 9년 정도였다. 이 군락은 비교적 최근 인위적으로 교란된 곳에 열악한 환경에 적응력이 강한 왕자귀나무가 유입되어 순림을 형성한 것으로 추측된다. 그 외 군락(Ⅱ, Ⅲ)은 왕자귀나무와 낙엽성 참나무류가 서로 경쟁하는 식생상황을 보였으며, 주요 수종의 수령은 13∼30년이었다.
상대적으로 식생구조가 발달한 왕자귀나무군락일수록 바닷가 인근에 해발고가 높은 급경사에 위치했다. 식생발달 초기단계에는 임상으로 유입되는 광합성 유효광이 많아 관목층에 왕자귀나무의 치수발생 및 생장량이 높았다. 왕자귀 나무는 바닷가 훼손지나 척박한 토양에 적응력이 강해 이러한 곳에 출현할 가능성이 높았다. 하지만, 식생구조가 발달하 여 지력이 높을수록 낙엽성 참나무류와의 경쟁에 밀려 왕자귀나무의 세력이 약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the location environment of Albizzia kalkora (AK) growing in Mt. Yudal located in Mokpo city and in the nearby islands. The AK community in Mt. Yudal in Mokpo city (CommunityⅠ) is located in a region which is relatively high above the sea level. The average age of the major kinds of trees found in the region is about 30 years. The vegetation structure in the community shows an early stage of vegetation development due to continued disturbance. In Community Ⅳ, on the sandy soil in the flatland near the seashores, the average age of the major kinds of trees is about 9 years. In this community, a pure forest is presumed to have been formed in a poor environment which is artificially disturbed in relatively recent times even as AK with its strong adoptability was introduced into the region. In other communities (Ⅱ, Ⅲ), the vegetation state shows a competition between AK and deciduous oak trees, and the average age of the major kinds of trees is about 13 to 30 years.
AK communities with a better developed vegetation structure are located on the higher steep slopes near the seashore. In the early stage of vegetation development, the forest floor received more effective light for photosynthesis, and thus more seedlings of AK emerged and grew. The probability of AK appearing in the damaged or sterile soil near the seashore was high because of its strong adaptability. However, as the vegetation structure developed further and the soil fertility increased, the domination of AK in the vegetation structure decreased as deciduous oak trees won the competition with AK.

목차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설정
  2. 현지조사 및 분석
 결과 및 고찰
  1. 왕자귀나무군락의 식생구조 특성
  2. 왕자귀나무군락별 입지환경 특성
  3. 종합고찰
 REFERENCES
저자
  • 김지석(부산대학교 생명산업융합연구원) | Ji-Suk Kim
  • 박석곤(국립순천대학교 산림자원·조경학부) | Seok-Gon Park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