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낙동정맥 마루금 일대의 소나무우점군락 특성 - 백병산, 칠보산, 백암산, 운주산, 고헌산을 중심으로- KCI 등재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Dominant Community on the Mountain Ridges of the Nakdong-Jeongmae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654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낙동정맥은 남북방향으로 길쭉하게 이어져 있어 다른 정맥에 비해 기후대 변화가 뚜렷하다. 이곳의 마루금에 대표적 으로 출현하는 소나무우점군락의 식생구조 특성을 지역 및 군락별로 분석하고자 낙동정맥을 대표하는 5곳(백병산, 칠보산, 백암산, 운주산, 고헌산)에서 소나무우점군락을 조사하였다. 군집분석(TWINSPAN)에 의해 교목층에 소나무가 우점하는 가운데 하층식생에 출현하는 식별종의 생육환경 특성에 따라 4개 군락으로 나누어졌다. 소나무우점군락Ⅰ은 쇠물푸레나무와 철쭉이 하층에 우점하는 군락으로서 정맥 마루금과 능선부에 전형적으로 출현하는 식생이었다. 소나무 우점군락Ⅱ는 사면상부에 위치했고 교란으로 인해 숲 내부로 광량 유입이 많아 개옻나무 등 낙엽활엽수종이 출현한 이차림이었다. 소나무우점군락Ⅲ은 다른 군락에 비해 생육환경 범위가 넓고 신갈나무, 비목나무 등 다양한 낙엽활엽수 종의 출현이 많아 향후 식생구조 변화가 예상된다. 마지막, 소나무우점군락Ⅳ에서 떡버들과 물박달나무가 출현하는 것으로 보아, 토양이 습하고 해발고가 높은 곳에 분포하는 군락인 것으로 추정된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운주산 및 고헌산지역의 소나무우점군락은 대도시 포항시와 울산시에 가까워 인위적 교란으로 인해 타 지역에 비해 식생 발달단 계로 종다양성이 높았고, 소나무 수령이 비교적 적었다. 반면, 나머지 지역의 소나무우점군락은 종다양성이 낮아 안정된 식생구조를 보였고, 소나무 수령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Since the position of Nakdong-Jeongmaek stretches from south to north, it shows clear changes of the climate compared to other mountain rang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in Pinus densiflora-dominant community (PDDC), which typically appeared on the ridge of this area, by each region and community. For this, the PDDCs in five representative areas of Nakdong-Jeongmaek (Baekbyeonsan, Chilbosan, Baegamsan, Unjusan and Goheonsan) were investigated.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wing environment for indicator species among the low vegetation, while the pinus densiflora was dominant on the canopy according to TWINSPAN. In community Ⅰ, Fraxinus sieboldiana an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were dominant and there was a typical vegetation on the mountain ridge. In community Ⅱthat was located on the upper slope, there was abundant inflow of sunlight to the inside of the forest which resulted from the disturbance, and it formed the secondary forest where deciduous broadleaf tree species such as Rhus cotinus appeared. Compared to the other communities, community Ⅲ had a wider range of growing environment and various species of deciduous broadleaf trees appeared, so that changes in the vegetation structure were expected in the future. Finally, with the appearance of Salix hallaisanensis and Betula davurica, community Ⅳare presumed to be located at a relatively high region with bountiful soil moisture. Reviewing by regions, PDDCs in Unjusan and Goheonsan were near big cities such as Pohang-si and Ulsan-si, so that the artificial disturbance resulted in high level of species diversity on a stage of vegetation development and the ages of Pinus densiflora were relatively young. On the other hand, PDDCs showed a stable vegetation status with low level of species diversity in other regions, and the ages of Pinus densiflora were relatively old.

목차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및 연구범위
  2. 조사 및 분석 방법
 결과 및 고찰
  1. 군집분석 및 서열분석, 유사도분석
  2. 상대우점치 분석
  3. 종다양성 및 연륜 분석
 REFERENCES
저자
  • 강현미((사)백두대간숲연구소) | Hyun-Mi Kang
  • 박석곤(국립순천대학교 산림자원·조경학부) | Seok-Gon Park 교신저자
  • 이상철(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Sang-Cheol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