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달운석 Mount DeWitt 12007의 마스컬리나이트 충격 변성 특성 연구 KCI 등재

Shock Metamorphism of Plagioclase-maskelynite in the Lunar Meteorite Mount DeWitt 12007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717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마스컬리나이트(maskelynite)는 강한 충격에 의해 운석이나 크레이터(crater)에서 형성된 장석 조성의 비정질 상으로서, 마스컬리나이트의 형성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는 운석의 충격 변성 압력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마스컬리나이트의 형성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한 예비연구로서, 달운석 Mount DeWitt (DEW) 12007에서 관찰되는 사장석과 마스컬리나이트의 충격 압력의 불균일성을 연구하였다. 달운석 DEW 12007에서 대부분의 사장석 입자 일부가 마스컬리나이트로 전이하여, 하나의 입자 내에서 사장석과 마스컬리나이트가 방향성을 가지고 혼재하는 양상이 관찰된다. 주 사 전자 현미경의 후방 산란 이미지 관찰 결과, 마스컬리나이트 내부에 평면 변형 구조가 남아 있는 것은 다이어플렉틱 글래스일 가능성을 지시하는 것으로 보이는 반면, 입자 경계를 따라 사장석이 용융 후 재결정된 흔적도 나타난다. 라만 분광분석 결과는 사장석이 약 5-32 GPa, 마스컬리나이트가 26-45 GPa의 충격 변성 압력을 받았음을 지시한다. 이와 같이 한 입자 내에서 서로 다른 충격 변성 압력은 충격파의 불균일한 분포와 같은 운석 외부에 의한 원인 또는 사장석 입자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과 같은 운석 자체의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라만 분광분석은 비정질 상(phase)인 마 스컬리나이트의 원자 구조를 규명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고압 환경에서 형성될 것으로 예상되는 고 배위수 원자 환경의 관찰이 힘들다. 따라서 장석과 마스컬리나이트의 충격 압력 및 형성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해, 장석과 마스컬리나이트의 화학 조성 및 원자 단위 구조의 규명이 필요하다.

Detailed knowledge on maskelynite, a glassy phase of plagioclase found in shocked meteorites and impact craters, is essential to understand a shock metamorphism. Here, we explore an inhomogeneous shock metamorphism in the lunar meteorite Mount DeWitt (DEW) 12007 with an aim to understand the formation mechanism of maskelynite. Most plagioclase grains in the DEW 12007 partially amorphized into maskelynite with a unidirectional orientation. Back-scattered electron (BSE) images of maskelynite show a remnant of planar deformation fracture possibly indicating that the maskelynite would be formed by solid-state transformation(i.e., diaplectic glass). Plagioclase with flow texture is also observed along the rim of maskelynite, which would be a result of recrystallization of melted plagioclase. Results of Raman experiments suggest that shock pressure for plagioclase and maskelynite in the DEW 12007 is approximately 5-32 GPa and 26-45 GPa, respectively. The difference in shock pressures between plagioclase and maskelynite can be originated from 1) external factors such as inhomogeneous shock pressure and/or 2) internal factors such as chemical composition and porosity of rock. Unfortunately, Raman spectroscopy has a limitation in revealing the detailed atomic structure of maskelynite such as development of six- or five-coordinated aluminum atom upon various shock pressure. Further studies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ar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formation mechanism of maskelynite under high pressure. Key words : maskelynite, lunar meteorite, shock metamorphism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시료 준비
  분석 방법
 결과 및 토론
  광학 편광현미경 및 후방산란 영상 관찰 결과
  라만 분광분석 결과
  충격변성 작용의 불균일성
 결 론
 REFERENCES
저자
  • 김현나(공주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충청남도 공주시 공주대학로 56) | Hyun Na Kim Corresponding author
  • 박창근(극지연구소 극지지구시스템연구부,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미래로 26) | Changkun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