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년층의 에이징 인 플레이스 주거 디자인을 위한 아파트 커뮤니티 시설 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KCI 등재

Case study of community space in the apartment complex for aging in place of the elderl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7602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6.46.1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인구의 고령화는 세계적인 현상일 뿐만 아니라, 선진외국에 비해 고령화 속도가 빠른 우리나라의 특성이기도 하다. 특히 1960년대 도시 산업화에 따른 도시집중화 이래 도시 이주자의 대다수가 나이가 들고 은퇴를 한 후에도 다른 지역으로의 이주 없이 도시에 지속적으로 거주하는 도심거주노인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시설에 거주하는 것보다는 현재 의 주택에서 계속 거주하고 싶다는 aging in place에 대한 선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도심 아파트에 도입 된 커뮤니티 공간의 물리적 현황 분석을 기반으로, 향후 아파트 거주 노인들의 변화하는 요구인 aging in place를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고령친화적 환경 구축을 위한 기초 데이터베이스를 연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 서울 지역 내 노인인구비율이 가장 높은 2개 지역을 대상으로, 2004년 이후 입주 아파트 단지를 선정하여 고령친화적 아파트 단지 커뮤니티 현황에 대한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한 논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고령친화성 정 도가 가장 좋은 항목은 신체적 측면 중에서 건강증진에 관한 것으로, 실내·외 구분 없이 비교적 다양한 시설과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하지만 건강관리 측면을 지원하는 커뮤니티 시설은 전무하였는데 향후 노인들의 도심 아파트 내 aging in place가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자가건강관리실과 같은 시설이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노인들의 심리적 측면 중 자연접촉 과 심신휴식의 니즈를 지원할 수 있는 커뮤니티 시설의 고령친화성 정도가 양호하였다. 하지만 시설이 대부분 외부에 위치 했는데 노인들은 외부 환경 변화에 민감하므로 겨울 등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자연을 접하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실내휴 게공간을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셋째, 사회적 측면을 지원하는 커뮤니티 시설 설치는 전무했다. 특히 교양교육과 취미 여가를 위한 공간과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전문성이 낮았다.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build up the fundamental data for aging-friendly community environments and facilities of apartment complexes in order to properly support the changing needs of the elderly based on the analysis of present condition for the community facility of apartment complex. The research cases a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three different elements of needs for the elderly, which are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aspect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case study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community space for the elderly is conducted with selected research cases, which are limited in the apartments within two different districts in Seoul where the aging population ratio is higher than other distri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unity facilities that support physical aspects of the elderly shows the high level of aging-friendly. Various facilities like fitness center, GX room, outdoor walkway, badminton court are planned, but there are no programs and spaces of health care for the elderly. Second, the level of aging-friendly for the facilities that can support emotional aspects are generally good, and especially facilities that can contact with nature has various types like theme park and garden, and waterfront. Lastly, the community facility status that can support social aspects of the elderly shows the lowest level. The facilities with education and leisure are bookstore, reading room, and community hall, and only senior vegetable garden can satisfy the needs of the elderly for spending the leisure time within apartment complex where they live.

목차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도시인구 고령화에 따른 주거환경 문제점
  2.2. Aging in place
  2.3. 고령친화적 커뮤니티 공간
 3. 현황분석 및 결과
  3.1. 조사대상
  3.2. 조사대상 단지별 커뮤니티 공간 설치 현황
  3.3. 공간기능 분류별 커뮤니티 시설 현황 및효과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오정아(김포대학교 인테리어디자인과 조교수) | Oh, Jung Ah Corresponding author
  • 정현원(김포대학교 인테리어디자인과 정교수) | Jung, Hyun-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