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알츠하이머병 진단에서 18F-Florbetaben의 유용성 KCI 등재

Usefulness of 18F-Florbetaben in Alzheimer’s Disease Diagno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836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한국방사선학회 (The Korea Society of Radiology)
초록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 질환이다. 뇌에 축적되는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은 기억력감퇴, 언어능력 저하등 일상생활 수행 능력이 어렵게 된다.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그 농도는 인지 장애를 가진 성인환자에서 알츠하이머 질환과 인지장애의 다른 원인인지를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베타아 밀로이드 단백질에 대한 높은 민감성과 특이성을 가진 18F-Florbetaben을 이용하여 알츠하이머병을 조기진단에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18F-FDG Brain 영상에서 특이소견 없음을 보인다. 그리고 MR-Brain 영상에서 해마의 위축이 없는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18F-Florobetaben에서 베타 아밀로이드의 섭취는 알츠하이머 병의 진전이 되고 있음을 알려준다. 따라서, 18F-Florobetaben은 알츠하이머병을 조기 진단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Alzheimer’s disease is the most common degenerative brain diseases that causes dementia. β-amyloid neuritic plaque density that accumulates in the brain is difficult to perform daily living, such as memory loss, language ability deterioration. It is used to estimate β-amyloid neuritic plaque density in adult patients with cognitive impairment who are being evaluated for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causes of cognitive impairment. Using the 18F-Florbetaben with hig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the β-amyloid neuritic plaque density to evaluate the usefulness for the early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In 18F-FDG Brain imaging shows no specific findings. And it appeared on the MR-Brain imaging without atrophy of the hippocampus. However, the intake of β -amyloid neuritic plaque density in 18F-Florbetaben informs that it is the progress of Alzheimer's disease. Therefore, 18F-Florobetaben is very useful for early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 AND METHODS
 Ⅲ. RESULT
  1. 18F-Florbetaben과 18F-FDG, Brain MRI를 찍은 영상입니다(Fig. 1).
  2. 18F-Florbetaben과 18F-FDG, Brain MRI를 찍은 영상입니다(Fig. 2).
  3. 18F-Florbetaben과 18F-FDG, Brain MRI를 찍은영상입니다(Fig. 3).
  4. 18F-Florbetaben과 Brain MRI를 찍은 영상입니다(Fig. 4).
 Ⅳ. DISCUSSION & CONCLUSION
 Acknowledgement
 Reference
저자
  • 이효영(동의대학교 방사선학과) | Hyo-Yeong Lee
  • 임인철(동의대학교 방사선학과) | In-Chul Im
  • 송민재(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핵의학과) | Min-jae Song
  • 신성규(동아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Seong-gyu Shi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