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원자력 홍보관의 전시물 탐색 및 교육 활용 방안 모색 KCI 등재

Exploring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Development on Exhibits at the Nuclear Information Hall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139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원자력방사선 관련 전시 및 교육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국내 원자력 홍보관의 전시물 및 전시패널을 내용에 따라 크게 4가지 범주로 분류하고, 과학커뮤니케이션의 6가지 요소로 분석하여 비율을 파악하였 다. 연구 대상은 국내 원자력 홍보관 총 4곳을 목적 표집하였으며, 일본의 원자력 과학관 1곳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모든 기관에서는 4가지 범주 중에서 개념에 해당하는 내용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시물에 포함되어 있는 과학커뮤니케이션 요소는 개념(CON)과 흥미(INT)가 주를 이루었으며, 반면에 과학의 본성(NOS), 인식(AW), 즐거 움(ENJ), 의견(OP)은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원자력 홍보관은 관람객에게 원자력방사능에 대한 다양한 측면의 정보를 제공하여 관람객 스스로 올바른 판단을 하고 과학적 태도를 향상시키며 과학커뮤니케이션 요소의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과학적 소양인 양성을 위한 전문 비형식 교육기관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전시물에 반영하기 어려운 과학커뮤니케이션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전문 도슨트 또는 해설사 양성을 위한 전문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kinds of content and science communication included in the exhibits and the exhibition panels in order to suggest a direction of desirable educational development in the nuclear power information halls in Korea. The four local nuclear power information halls in Korea and the nuclear power science center in Japan are selected as the sub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onceptual’ exhibits are a dominant topic among the four topics of contents, and the concept (CON) and interest (INT) are found as the most dominating component of science communication. Meanwhile, the nature of science (NOS), awareness (AW), enjoyment (ENJ), and opinion (OP) components are little exhibi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nuclear power information halls can be more professional to enhance scientific literacy, as the informal education institutions, providing information of nuclear energy and radiation on various perspectives for visitors to make decisions by themselves and to improve their scientific attitudes and understanding of science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limited science communication can be fully reinforced by docents or commentators. Further research need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a specialized program to produce professional docents or commentators.

목차
서 론
 연구방법
  연구절차
  연구대상
  자료수집
  자료분석
 연구결과
  원자력 홍보관에 있는 전시물 및 전시 패널의 주제에 따른 분류
  국내 원자력 홍보관에 있는 전시물 및 전시 패널의 과학커뮤니케이션 반영 정도
  일본 원자력 과학관의 주제에 따른 분류 및 과학커뮤니케이션 반영 정도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정운관(조선대학교 원자력공학과, 61452 광주광역시 동구 필문대로 309) | Woon-Kwan Chung
  • 박영신(조선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61452 광주광역시 동구 필문대로 309) | Young-Shin Park
  • 정다혜(조선대학교 과학교육학과, 61452, 광주광역시 동구 필문대로 309) | Da-Hye Jeong Corresponding author
  • 김민환(조선대학교 과학교육학과, 61452, 광주광역시 동구 필문대로 309) | Min-Hwan Kim